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그동안 저평가되었던 은행업종의 주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금리 인상이 늘 은행주(株)의 호재는 아니었기에 투자에 유의할 필요는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전날 24일 ‘2022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에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는 한은이 2014년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지속하겠다”는 발표를 시작으로 7년간 유지해왔던 기조를 전면 수정한 것이다.
한은의 이 같은 결정은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과 금리 인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즉 미국발(發) 금리인상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 2013년 5월 연준이 테이퍼링 가능성을 처음 언급하자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 급락이라는 ‘테이퍼 텐트럼(긴축발작)’ 현상이 발생한 적이 있다.
또한 시중에 풀린 유동성이 과도하다는 인식도 영향을 미쳤다. 주식과 부동산에 자금이 몰린 탓에 가계대출 증가, 자산 가격 버블 현상과 같은 ‘금융 불균형’ 현상이 심해졌다고 한은은 진단하고 있다.
한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은행업종의 주가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통상적으로 금리 인상은 은행주의 호재로 꼽히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금리 인상 시기에 접어들면 은행의 예대마진(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 확대되고 자연스럽게 순이자마진(NIM)이 늘어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하나금융투자 최정욱 연구원은 “내년 은행 평균 연간 NIM 상승 폭은 기존 5bp 내외에서 8~9bp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순이자마진이 증가하면 은행의 이자이익은 내년에 1.9% 늘어나고 순이익은 기존 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금리 인상이 은행업종에 호재로 이어지진 않는다. 금리가 오를 경우 자연스럽게 연체율도 올라하고, 부실대출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지난 2010~2011년에도 금리 인상 실행하자 은행의 연체율이 크게 늘었다. 특히 현재 가계부채는 GDP 규모를 초과한 상태다. 이 가운데 부채의 특성도 임대보증채무와 같은 단기성 레버리지 비중이 크다. 임대보증채무 비중이 전체 가계부채에 약 27%를 차지하고 있다.
결국 ▲금리 인상 시행에 이어 ▲코로나19 대출 상환 여부 ▲자산시장 변동성(부동산·주식)은 은행업종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이러한 리스크는 부실채권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출자의 상환능력이 개선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기준금리 인상은 은행의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과도한 금리 인상은 가계나 기업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고, 연체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은행에도 부실을 쌓일 수 있고 자산건전성을 위협한다. 다만 현재 연준의 연착륙 정책으로 최악의 시나리오로 가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