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결핵환자 발생률이 26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가 ‘결핵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팔을 걷었다. 질병관리청은 10만명당 40명이 감염되는 결핵 발생률을 오는 2027년까지 절반 이하로 줄이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제13회 결핵예방의 날을 맞아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자체,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질병관리청 자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실행안을 마련한 후 국민, 관계 부처, 학회, 협회 등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결핵전문위원회의 심의·의결로 확정했다.
한국의 결핵 환자 수는 지난해 2만383명으로, 2013년 4만5292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89.6명에서 39.8명으로 감소했다. 지난 2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의 목표치인 ‘40명 이하’를 달성했다.
그러나 한국의 결핵 발생률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최고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21년 한국의 결핵 발생률은 44.0명으로 OECD 평균(9.7명)의 4.5배에 달한다. 한국의 결핵 사망률은 인구 10명당 3.8명으로 콜롬비아(5.0명), 리투아니아(4.6명)에 이어 3번째로 높다.
결핵 발생률은 특히 노숙인, 의료수급권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중심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령층 증가에 따른 65세 이상 환자의 비중과 사망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결핵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조기 발견, 맞춤형 치료관리 등 인구집단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정부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10만명당 40명 수준인 결핵 환자 발생률을 2027년까지 20명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고위험군 검진비를 지원하고 잠복결핵감염 검진과 치료를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노인과 노숙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찾아가는 결핵검진’을 확대하고, 결핵 확진검사 비용 지원 대상자도 늘리기로 했다.
결핵 역학조사는 더 정교화할 계획이다. 집단시설 접촉자의 소속 정보 누락을 방지하고, 노출 위험도에 따른 접촉자 검사 우선순위를 마련해 조사 자원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결핵 고위험 국가에서 입국하는 외국인에 대해 입국 전 단계 결핵검진을 시행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치료기간이 길고, 약제에 대한 부작용 등으로 인해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결핵 환자는 치료 종료 시까지 보건소 전담 인력이 1대1로 사례관리를 맡고, 의료기관 적정성 평가 대상에 결핵 치료 성공률 지표를 신설한다.
아울러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결핵예방접종(BCG) 백신의 자급화를 추진한다. 2024년까지 기술 개발과 품목 허가를 완료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예방접종에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꾸준한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결핵 퇴치까지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번에 수립한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을 관계 부처, 지자체, 의료기관, 전문가 등과 협력하여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