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 따른 소비감소 영향이 고령층 보다 청년층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 가운데 부채가 많은 이들의 소비감소가 두드러졌다. 청년들의 대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장기 대출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6일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연구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1%p(포인트) 인상할 경우 대출보유 차주의 연간 소비는 약 13만2000원(0.5%↓) 감소했다. 주로 저소득층과 대출이 많은 중산층에서 소비가 큰 폭으로 줄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와 30대의 연간 소비 감소폭이 각각 약 29만9000원(1.3%↓)과 20만4000원(0.8%↓)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20대 소비 감소폭은 60대 이상의 8.4배에 달한다. 2021년 기준금리가 총 3%p 오른 만큼 20대의 연간 소비는 90만원 가량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부채 여부에 따라 소비감소폭에 차이가 벌어졌다. 청년층 내에서는 부채 상위 50%에 속하는 경우, 부채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금리인상에 따른 소비 감소폭이 약 11배에 달했다.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부채가 없는 청년들은 연간 소비가 2만4000원(0.1%↓) 줄어든데 반해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26만4000원(1.1%↓) 감소했다.
금리인상으로 소비가 가장 크게 줄어든 이들은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중 저신용층(신용점수 700점 이하)이다. 이들은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연간 소비가 무려 53만9000원(2.2%↓) 줄었다.
김미루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청년층 내에서도 부채가 많을수록 소비가 더 줄었고, 소득수준이 낮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취약차주의 소비는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감소한다”며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가 고령층에 비해 크고, 자산 처분이나 추가 차입을 통해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청년층이 합리적인 수준에서 부채를 보유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면서 “결국에는 청년층이 과도한 부채를 지지 않도록 주택매매 시장과 임대차 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청년층의 경우 생애주기 관점에서 향후 소득이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니 조금 더 만기가 긴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