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11월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설립 이후, 불과 10여 년 만에 이룬 성과다.
국내 대학 가운데 특정 대학원에 73개국 출신 유학생이 거쳐 간 곳은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이 유일하다.
전 세계적으로도 유사한 사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드문 일이다.
심지어 지난 2018년에는 한국과 비수교국인 쿠바 출신 유학생 2명이 입학해 화제가 된 바 있다. ‘새마을학’에 대한 전 세계적 수요가 어느 정도인지 보여준다.
이번에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에 입학한 유학생은 아프리카 라이베리아 출신의 카마라 마케메(Kamara Makemes, 새마을국제개발전공)씨와 남아메리카 파나마에서 온 에레라 퀸테로 마리아 델 로사리오(Herrera Quintero Maria Del Rosario, 산림및환경정책전공)씨다.
아프리카, 남미, 아시아 등 전 세계 개도국에서 앞 다퉈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을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의 발전 경험, 새마을운동과 새마을개발 원리 등 국가발전 정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마을학’을 체계적으로 전수받을 수 있는 곳이 바로 영남대이기 때문이다.
새마을운동은 UN 등 국제사회로부터 개도국의 효과적인 지역사회개발 모델로 인정받고 있다.
유엔세계식량계획(UN WFP)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절대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의 새마을개발 원리를 적용한 ‘새마을 제로 헝거 커뮤니티(Zero Hunger Communities) 프로젝트’를 탄자니아, 르완다, 네팔, 방글라데시 등 전 세계 개도국에서 추진해 큰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영남대는 지난 40여 년 동안 새마을개발 분야에서의 교육·연구 성과와 노하우를 축적해 왔다.
박정희새마을연구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국제개발협력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등 학부와 대학원 과정은 물론 연구원과 교육연수 전문기관 등을 설립해 새마을운동을 학문으로 정립하고, 새마을국제개발 분야 인재 양성을 비롯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번에 입학한 마케메씨와 로사리오씨의 유학 이유도 다르지 않다.
이들은 “세계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올라선 유일한 국가인 한국의 발전 경험과 그 토대인 새마을운동에 대해 배우기 위해 영남대로 유학왔다”면서 “새마을운동과 새마을개발 원리를 접목한 발전 정책이 고국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최외출 영남대 총장(전 새마을국제개발학과 교수)은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개도국의 빈곤 극복 모델은 물론, 국가 발전 정책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남대가 축적한 새마을국제개발 분야에서의 교육·연구 성과를 전 세계와 공유할 것”이라면서 “영남대에서 새마을개발을 깊이 있게 연구한 인재들이 개도국 발전을 넘어 인류사회 공동 번영에 기여하는 인재가 되길 바란다. 더 행복하고 더 안전한 지구촌을 만드는데 영남대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영남대 박정희새마을대학원은 개도국 공무원과 정책입안자, 공공부문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새마을국제개발전문가와 지역개발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지난 2011년 11월 설립됐다. 지금까지 73개국 853명이 입학했으며 66개국 725명이 석사학위를 받고, 전 세계에서 새마을국제개발 및 지역개발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2023년 5월 현재 23개국 85명의 유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경산=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