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지원에 따른 착시 효과가 사라질 경우 기업대출 건전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0.32%에서 올 1분기 0.41%로 올랐다. 부실채권 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NPL)도 같은 기간 0.53%에서 0.57%로 증가했다.
코로나19가 불러온 저금리와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 기업대출 완화 등에 잠재된 리스크가 점차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는 사이 중소기업 대출은 4월과 5월 각각 4조4000억원 증가하며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가계대출 금리가 연 3%대까지 떨어졌지만 아직까지 5%대를 유지하고 있는 중기대출 금리도 연체율 상승을 부추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번 달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중소기업 신용대출 금리는 평균 5.03%로 집계됐다. 신용등급이 5등급인 중소기업은 6%대, 6등급 이하는 11%대 금리를 적용받고 있다.
한은은 이와 관련해 코로나19 금융지원 ‘착시 효과’가 걷힐 경우 은행 기업대출 부도율이 0.24%p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이 팬데믹 기간(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기업대출 가산금리와 팬데믹 이전(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가산금리를 비교한 결과, 팬데믹 기간 가산금리가 장기 평균에 비해 1.06%p 낮았다. 전체 기업의 70% 정도가 팬데믹 기간에 더 낮은 가산금리를 적용받고 있었다.
특히 중소기업의 팬데믹 기간 가산금리는 장기평균에 비해 1.20%p 낮았다. 대기업의 가산금리와 장기평균 차이가 0.25%p에 불과한 만큼 중소기업에 지원이 집중됐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수 기준으로 봐도 중소기업의 72%가 수혜를 받아 대기업 수혜비율(63%)을 웃돌았다.
따라서 한은은 코로나19 착시 효과가 사라질 경우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취약기업 비중이 최대 7.5%p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한은은 “은행의 잠재 신용손실을 감안할 때 현재의 기업대출 건전성 지표는 신용리스크를 과소 반영하고 있을 수 있다”면서 “국내은행은 대손충당금과 자본금 적립을 확대해 손실흡수능력을 더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