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크라이나와 연대·지원을 선언한 가운데, 국내 기업의 러시아 사업 복귀는 안갯속을 걷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러시아 내 공장 가동이 중단되며 관련 손실이 쌓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칼루가주 보르시노시에서 TV와 모니터 등을 생산해 왔다. LG전자는 모스크바주 루자시에 냉장고와 세탁기, TV 등의 가전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뒀다. 지난해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본격화되며 국제사회의 제재로 러시아 내 부품 조달 및 선적 등이 어려워졌다. 이로 인해 공장 운영이 지난 하반기부터 운영이 중단됐다. 일감이 없는 상황에서도 고용을 유지, 주 2~3일 교대·재택근무 등을 진행 중이다.
대러시아 수출도 1년 넘게 사실상 중단됐다. 지난 2021년 전체 수출 대비 1.5%였던 대러시아 수출 비중은 지난해 0.9%로 하락했다. 전체 수출 대비 미미한 수준이지만 일부 제품 시장 점유율 하락세는 두드러진다. 러시아 내 스마트폰 제조사별 판매 현황에서 삼성전자의 비중은 2021년 12월 35%였으나, 지난해 12월에는 2%로 급감했다. 서방 제재에 동참하며 신형 스마트폰 등이 러시아 내에 출시되지 못한 탓이다.
러시아 내 국내 기업의 빈자리는 중국이 채우고 있다. 러시아 가전제품 유통업체 엠비디오·엘도라도그룹은 지난 4일 러시아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스마트폰 점유율이 70%를 초과했다고 발표했다. 1위 샤오미, 2위 리얼미, 3위 삼성, 4위 애플 순이다. 지난 1분기 TV 카테고리 수요 분석에서는 “한국 브랜드에서 경쟁력 있는 중국 브랜드로 교체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그룹이 지난해 7월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는 러시아인의 83%가 “중국, 터키, 러시아·CIS 국가 브랜드가 이미 잘 알려진 브랜드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고 답했다.
더욱 큰 문제는 출구전략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러시아 정부는 이른바 ‘비우호국’에 대한 특별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비우호국 기업 자산 매각 시 시장 가치의 5~10%를 자발적으로 러시아 정부에 이체해야 한다는 의무를 신설했다. 기업이 러시아에서 철수하려면 돈을 납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위협이 되는 비우호국 개인·법인의 자산에 한시적 외부경영을 가능토록 했다. 실제로 러시아는 프랑스 식품기업 다논과 맥주 제조사 칼스버그 발티카의 자회사 압류를 단행했다.
우리 정부와 우크라이나가 연대를 선언하며 러시아의 관계가 악화일로를 걸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리투아니아·폴란드 순방 중 우크라이나를 깜짝 방문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진행한 후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 추진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같은 날 진행된 공동발표에서 “러시아의 불법침략으로 무고하게 희생된 우크라이나 시민에게 애도를 표한다”며 “생즉사 사즉생의 정신으로 우리가 강력히 연대해 함께 싸워나간다면 분명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는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의 위험 요인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도원빈 한국무역협회 공급망분석팀 연구원은 “러시아의 제재는 서방에 초점을 더 맞추고 있다”면서 “다만 러시아 진출 해외기업에 대한 불이익 강화와 특정 품목에 대한 대한국 수출통제 등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봤다. 이어 “러시아에서 철수하지 않은 국내 기업의 손해가 누적되고 있다”며 “자산매각 시 불이익 요소로 인해 ‘버티기’에 돌입한 기업도 있지만 오래 버틸수록 위험 요인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언급도 있었다. 그는 “대기업은 어느 정도 버틸 여력이 있지만 문제는 영세한 중소기업”이라며 “정부가 해당 기업에게 러시아 관련 정보에 대해 공유하고 한시적 저리 대출과 유예기간 연장 등 금전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