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를 이용한 가구주 비중이 4년 만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 은행과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문턱을 올리다 보니 돈을 빌리지 못한 차주들이 대부업체를 찾아가면서다.
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기타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로, 지난해(6.9%)보다 1%p 상승했다. 이는 2019년(11.4%) 이후 4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다.
‘기타 기관 등’의 항목은 시중은행,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제외한 기타 여신업체들을 말한다.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제도권 금융인 셈이다.
대부업체 대출 가구주 비중은 2019년 11.4%로 정점을 찍은 후 매년 하락해 지난해 6.9%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4년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같은기간 보험회사 신용대출 가구주 비중도 전년 0.8%에서 올해 1.1%로 높아졌다. 보험사 대출도 서민금융 분야에서 급전 창구로 유명하다.
반면 1금융권에 소속된 은행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8.8%로 1.0%p 낮아지며 4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저축은행이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가구주 비중도 각각 0.2%p씩 하락했다.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가구주 비중도 지난해보다 각각 0.2%p씩 하락한 3.8%, 8.4%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면서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신용대출 규모를 축소하자 신용대출 수요가 대부업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조달·대출금리 상승으로 저신용자를 상대로 한 대출이 일부 중단되는 ‘컷오프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문제는 대부업권의 사정도 좋지 못하다는 것이다. 대부업계가 영업환경 악화로 사실상 ‘개점 휴업’에 들어간지 오래다 보니 대부업권의 문을 두드리는 이들도 대출을 못받는 경우가 허다하다.
한국대부금융협회에 따르면 주요 69개 대부업체가 올해 9월 한달간 신규 취급한 대출액은 834억원(9월 누계·대출자 1만1253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간 3724억원(2만6993명)을 실행한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1년여 만에 80%가 감소한 것이다. 나머지 5분의 4는 사채시장으로 이동했거나 잠재 이용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불법사채 피해는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금융감독원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엔 총 6784건의 상담·신고가 접수됐다. 2019년 연간 건수(5468건)를 반년 만에 넘어섰고, 지난해 연간(1만913건) 대비 62%에 달한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