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수출이 70만대를 넘겨 신기록을 경신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내년 수출 전망은 각국의 자국 보호 정책으로 장담하기 어려운 상태다. 업계에서는 우리나라도 자국 보호 정책을 해야 한다고 소리 높였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11월까지 국내 친환경차 수출은 66만2307대로 작년보다 32.5%가 높아졌다.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차 등을 포함하고 있다.
친환경차 수출량은 매년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2020년에 27만1000대였던 수출량이 올해 11월 기준 66만2307대로 2배가 넘게 증가했다.
이뿐만 아니라 전기차가 다른 친환경 차량보다 수출량이 앞섰다.. 세부 사항을 살펴보면 전기차 31만6654대, 하이브리드차 28만3685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6만1694대, 수소전기차 274대 순이다.
하지만 각국이 자국 전기차 시장 보호를 위해 지원금을 축소를 예고하면서 내년 판매 전망은 불투명하다. 중국은 자국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지원금을 지급하는 식으로 시장을 키워 현재는 보조금 제도를 없앤 상황이다.
미국에서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북미에서 최종 조립하고 배터리에 들어가는 부품과 핵심광물의 원산지를 충족한 전기차에 한해 지원금을 지급한다. 유럽에서도 ‘핵심원자재법’(CRMA)으로 유럽에서 생산하는 원자재를 기준으로 보조금 혜택을 준다.
업계관계자는 현행 제도로 수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자국 기업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친환경 차량의 가장 큰 문제는 가격”이라며 “가격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다면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에서 할 수 있는 소비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각국의 정책에 대응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국 생산 우대 정책 등이 국내에도 필요하다”고 소리 높였다.
전문가는 자국 산업을 보호해야 하지만 손해를 키우는 식의 자국 보호는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우회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24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자국 우선 정책이 필요하지만 원자재와 시장 규모를 고려하면 되레 피해가 커질 수 있다. 20원을 얻고 200원을 잃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라며 “우회적인 자국 보호 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국에서 생산하는 LFP 저가 배터리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며 “환경문제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문제에 패널티를 줘 자국을 자연스럽게 보호해야 한다”고 전했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