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골절 환자 43만명…20년 새 4배 이상 급증

골다공증 골절 환자 43만명…20년 새 4배 이상 급증

건보공단·골대사학회, 골다공증 골절 및 재골절 현황 발표
한번 경험하면 재골절 위험 커…“예방 정책 마련해야”

기사승인 2023-12-28 16:12:10
게티이미지뱅크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환자가 연평균 7.8%씩 증가해 지난해 약 43만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전인 2002년 환자가 약 10만명에 달한 것과 비교하면 4배 넘게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골대사학회는 28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과 재골절 발생 현황’에 대한 공동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골다공증 골절 환자는 2022년 43만4470명으로 2012년 32만3806명보다 34.2%, 2002년 9만7380명보다 346.2% 각각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7.8%다.

골다공증이란 골량 감소와 미세구조 이상이 특징인 골격계 질환으로, 뼈가 약해져 골절 위험성이 증가한다. 강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골절과 달리 골다공증 골절은 뼛속의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약해진 상태에서 작은 충격만 받아도 뼈가 부러지는 일종의 ‘취약 골절’이다. 전 세계적으로 취약 골절은 3초마다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22년 전체 골다공증 골절 환자 43만4470명 중 80대가 31%(13만4549명)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70대 26.3%(11만4273명), 60대 26.4%(11만4886명), 50대 16.3%(7만762명) 순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 골다공증 골절 환자 10만5366명에 비해 여성이 32만9104명으로 3.1배 더 많았다. 남성은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9.1%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80대가 33.1%로 가장 많았다.

골절 부위를 보면 50~60대는 손목과 발목 골절이 주로 발생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척추와 고관절 골절 발생이 증가했다. 척추 골절은 50세 이상 인구 1만명당 2018년 85.1명까지 증가 양상을 보이다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의료 이용과 외부활동이 줄면서 2020년 77.9명으로 감소했다. 이후 2021년 78.6명, 2022년 80명으로 다시 발생률이 늘고 있다. 

고관절 골절 역시 인구 1만명당 2010년 17.3명까지 증가한 이후 2020년 16.6명으로 감소했다가 다시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06년 18.9%에서 2020년 15.9%로 조금씩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다가 2021년 다시 18.2%로 올랐다.

골다공증 골절을 한 번이라도 경험한 환자는 재골절 위험이 크다. 2021년 기준 척추 골절 후 1년 내 모든 부위에서의 재골절 발생률은 8.7%다. 고관절 골절의 재골절 발생률은 3%다.

하용찬 골대사학회 이사장은 “골다공증 골절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의료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중증 노인성 질환으로,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나라에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미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선진국들은 골다공증 골절의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재활과 요양 관리 등에 사회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도 향후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골다공증 골절에 대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며 “약물치료와 함께 골절 이후의 재활 치료를 포함한 운동요법, 낙상위험 방지, 영양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재골절 예방을 위한 정책적 노력도 중요하다고 했다. 하 이사장은 “골다공증 골절을 한 번 경험한 환자들은 재골절 위험이 크므로 별도의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며 “재골절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골절 고위험군을 별도로 관리하는 해외 선진국들의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을 참고해 적극적인 예방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짚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