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차와 도로청소차 90%가 대기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경유차와 휘발유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차와 도로청소차 1만5315대 가운데 90.1%인 1만3794대가 경유차 또는 휘발유차였다.
반면 압축천연가스(CNG), 액화천연가스(LNG), 수소, 전기 등을 연료로 하는 저공해·친환경 청소차는 1521대로 전체의 9.9%에 그쳤다.
이는 청소차로 활용할 수 있는 대형 저공해차가 없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환경부가 준중형 전기 화물차 보조금 예산을 편성했지만 보조금을 받을 차가 시장에 나오지 않아 국회 심의 과정에서 삭감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국내에 출시된 전기 화물차는 1톤급 소형이 사실상 전부다. 5톤급 등 준중형은 출시 준비 중인 단계다. 실제로 청소차로 활용될 수 있는 수소 화물차가 출시됐으나 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저공해 도로 청소차 확보를 위한 예산도 문제다.
도로청소차의 경우 지자체 직영 차량에 대해 친환경차 전환 시 국고로 비용의 50%(수소차는 80%)를 지원해주는 등 국가의 지원이 있기는 하지만, 지자체 직영 차량에 대해서만 지원이 이뤄진다.
서울의 경우 대행업체가 운영하는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차가 전체의 90%에 달하는 등 대행업체 청소차가 더 많다.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어느 때보다 탄소중립 달성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때이나 청소차와 관련해서는 그 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면서 “환경부와 지자체는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해 친환경 청소차 도입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