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방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와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0.5 미만은 '소멸 위험', 0.2 이하는 '고위험'으로 분류된다.
영월군은 지난해 말 기준 0.87로 집계돼 고위험군에 속한다. 다만 지역 맞춤형 접근을 통해 대응의 실효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이 단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군은 지난해 말 '결혼·출산축하금 지원 조례'를 제정해 자녀 1인당 최대 3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신혼부부와 청년층을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 입주 요건도 완화했다.
행정안전부가 추진 중인 생활권 중심 정주 모델과도 결을 같이하며 안정적 인구 기반 마련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덕포리 동네상권발전소'는 노후 상가를 리모델링해 청년 창업 기반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로 군은 이곳을 청년 정착 시범공간으로 삼아 상권 재생과 지역 일자리 확대를 연계할 방침이다.
청년지원센터 기능도 개편돼 공간 제공을 넘어 취·창업 멘토링, 정착 컨설팅, 지역 일자리 연계 등 통합 프로그램이 시범 운영되고 있다. 군은 하반기부터 이들 지원 체계를 구체화하고 관련 예산을 반영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귀촌인 대상 정착지원금 확대, 읍·면 맞춤형 전입 지원제도 운영, 대상자 통합 상담창구 마련 등 다양한 정주 지원책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군 내부에서도 '당장의 수치보다 정주 기반을 어떻게 구축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기조 아래 정책 방향이 잡혀가고 있는 분위기다.
최명서 영월군수는 "영월군은 인구감소에 대응해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종합적인 인구정책을 추진 중"이라면서 "앞으로도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과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