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원환자, 재택의료 원해도 요양병원으로 이송…제도 마련 시급”

“퇴원환자, 재택의료 원해도 요양병원으로 이송…제도 마련 시급”

기사승인 2025-04-22 19:55:10
대한재택의료학회가 지난 20일 서울 역삼동 삼정호텔에서 ‘전환기의료와 가정 호스피스: 지속 가능한 재택의료를 위한 도전과 협력’을 주제로 2025년 춘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대한재택의료학회 제공

퇴원환자가 요양병원에 가지 않아도 집에서 재택의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재택의료학회는 지난 20일 서울 역삼동 삼정호텔에서 ‘전환기의료와 가정 호스피스: 지속 가능한 재택의료를 위한 도전과 협력’을 주제로 2025년 춘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학회 이사장인 박건우 고대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는 “퇴원환자를 집으로 보내 재택의료를 받게 하고 싶어도 병원 진료협력센터에서 재택의료의 존재를 모르거나 수가 및 실적 등 현실적 문제로 인해 요양병원 등으로 이송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며 “학회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분절된 의료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효과적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환기 의료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열린 오전 세션에서는 병원과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는 제도적 체계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전환기 의료는 퇴원환자가 집에서 지속적이고 안전하게 치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를 말한다.
   
손기영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노인이 퇴원할 때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입원 시점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퇴원 후 전환기 의료로 전환한다면 재입원율을 유의미하게 낮추고 환자의 원활한 일상 복귀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급병원과 지역사회 자원, 가정을 연결하는 유기적 연계 시스템을 확립하고 그 과정을 통합적으로 조정하는 코디네이션 기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선경 서울성모병원 진료협력팀장은 “진료협력센터에서 월 평균 300건 이상의 전원 건을 다루지만 가정 복귀율은 10%도 안 된다”면서 “병원과 지역사회 재택의료 연계를 지원할 플랫폼과 정보 공유 시스템이 부재한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방문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이상범 서울신내의원 원장은 “재택의료센터가 전환기 의료의 중심축 역할을 하려면 상급병원과 재택의료를 연결하는 제도적 루트가 필수적”이라며 △상급병원과 재택의료센터의 연계 체계 구축 △환자의 치료 연속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진료정보 공유 △전환기 의료 계획 수립, 자원 연계 등에 대한 별도 수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류지호 믿음노인복지센터 대표는 “지자체 주도로 지역 돌봄 협약을 체결하거나 현장 중심의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안도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재택의료학회가 지난 20일 서울 역삼동 삼정호텔에서 ‘전환기의료와 가정 호스피스: 지속 가능한 재택의료를 위한 도전과 협력’을 주제로 2025년 춘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대한재택의료학회 제공

오후 세션은 학회의 부회장을 맡은 탁영란 한양대 간호학과 교수가 좌장으로 나서 ‘가정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생애말기 돌봄 확대의 필요성을 논의했다. 

이찬녕 고대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호스피스는 여전히 암 환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 외 신경계 질환자 등은 생애말기 돌봄의 사각지대에 있다”며 “비암성 질환자에 대한 완화의료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선희 한국방문간호사회 회장은 “상당수 장기요양 대상자가 생애말기 상태이지만 가정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생애말기 돌봄을 제도화하고, 간호사와 보호자에 대한 윤리·정서적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호성 동백 성루카병원 진료과장은 “가정형 호스피스 목적은 가정 임종이 아니라 응급실에 덜 가게 하는 것인데, 현재 지역적·제도적 한계가 있다”면서 기능강화형 재택진료센터를 지정해 호스피스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일본 사례를 대안으로 소개했다. 

김창오 돌봄의원 원장은 “재택의료를 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환자 임종을 마주하게 된다”며 “재택의료센터가 임종기 환자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윤리적 의사결정과 유족관리, 24시간 상담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법적, 재정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학회장인 이건세 건국대 의전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정책 당국이 상급병원 환자 쏠림을 완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나 환자 필요에 맞춘 전환기 의료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학회가 병원과 지역사회, 재택의료센터의 효과적 연계를 위한 연구와 정책 제안에 앞장설 것”이라고 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