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달세트라핍 새롭게 부활할까?

달세트라핍 새롭게 부활할까?

기사승인 2015-01-25 10:26:55
"특정 유전자 있으면 심혈관 발생 줄여

대규모 연구에서 지질 개선효과를 입증하는데 실패해 연구가 중단됐던 달세트라핍에 대해 새로운 가능성이 나타났다.

캐나다 몬트리올의대 Jean-Claude Tardif 박사는 약물유전학 분석을 통해 달세트라핍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달세트라핍의 주요 랜드마크 연구였던 dal-OUTCOMES 연구(5749명 참여)에서 유전자 전체 접근법(genome-wide approach)을 사용해 약물유전체 평가를 시행했다. 마찬가지로 dal-PLAQUE-2 imaging 연구에서더 맞춤형 유전자타입 패널을 통한 약물유전체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의 DNA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 달세트라핍의 심혈관 사건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세부적으로 16번 염색체(rs1967309; P=2.41×10 마이너스 8승)의 유전자인 ADCY9이 있는 경우 달세트라핍의 치료반응과 관련성이 깊었다.

특히 rs1967309에서 유전자 AA 형인 환자들을 달세트라핍으로 치료했을 때 위약대비 심혈관 발생이 39% 가량 줄어들었다(HR=0.61; 95%CI 0.41, 0.92).

이와 반대로 유전자 GG형을 보유한 환자들은 달세트라핍으로 치료했을때 위약대비 심혈관 발생을 27%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ADCY9 유전자안에 있는 10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을 보유한 경우 내막 중막 두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몬트리올 대학 Jean-Claude Tardif (몬트리올 심장연구원의 연구센터장) 박사는 ""달세트라핍 연구를 계기로 개별화된 맞춤형 치료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았다""면서 ""이번 연구결과를 계기로 유전자형에 따른 맞춤 임상연구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며 이후 전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인 죽상동맥경화증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Circulation: Cardiovascular Genetics 1월 15일자에 실렸다.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업저버 박상준 기자 sjpark@monews.co.kr"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나경원 “이번 대선은 체제전쟁…이재명 꺾을 것”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위험한 이재명을 꺾고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나 의원은 11일 오후 2시쯤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서 그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진정한 국민 승리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번 대통령 선거를 '체제 전쟁'에 비유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냐, 아니면 반자유·반헌법 세력에게 대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