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가 국내에 상륙한 지 4개월이 넘었지만,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확진자 통계에서 여전히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11일 서울시와 질병관리본부의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확진자 누계 통계를 비교하면 두 기관의 집계가 일치한 날은 이틀에 불과했다.
서울시는 매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전날 0시 이후 34시간 사이 상황 변화를 담은 통계를 집계해 발표한다. 질본은 매일 0시 기준으로 지역별 확진자 수를 집계한다. 그렇다면 서울시의 10시 기준 집계에서 확진 날짜가 발표 날짜와 같은 환자의 수를 뺐을 때 질본 0시 기준 집계와 일치해야 한다. 하지만 누계에서도 차이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8일 열린 브리핑에서 “질본과 서로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며 “지난주는 (당일 확진자를 자료에) 반영했고, 필요하다면 그때마다 신속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질본과 시차를 두고 발표하면서 수치를 최신화한다는 설명인데, 같은 0시 기준으로 보더라도 두 기관 집계가 달라 국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차이가 생기는 이유로는 ▲확진 판정을 내리기 모호한 경우가 많다는 코로나19의 특성 ▲집단감염 발생으로 확진자가 급증할 때의 업무 과부하 등이 꼽힌다. 환자에 대한 최종 확진 권한은 질본과 보건환경연구원에 있지만, 서울시와 같은 지자체에서는 투명성 강화 차원에서 최종 판정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어느 검사에서건 양성이 나왔다면 확진자로 공개하고 있어 차이가 발생한다.
또 5월 초 발생했던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빈발하는 소규모 집단감염 사태도 기관 간에 통계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이다. 다수 확진자가 한 번에 발생하면 최종 확진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확진자의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검사받은 지역이 일치하지 않은 사례가 많은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된다. 경기도민이 서울 내 직장에 출근했다가 몸에 이상을 느껴 근처 보건소에서 검사받고 확진 판정을 받으면 해당 보건소는 경기도로 통보한다. 이때 보건소와 경기도가 나란히 질본에 환자 발생을 보고해 중복됐다가 추후 수정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nswreal@kukinews.com / 사진= 박효상 기자 tina@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