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화)
“6월 더 힘들어”…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전망 두달 연속 악화

“6월 더 힘들어”…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전망 두달 연속 악화

기사승인 2024-06-03 10:05:45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에서 상인들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경기전망이 두 달 연속 악화했다.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요인이 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6월 전망 경기지수(BSI)는 67.4로 전달 대비 7.0포인트 하락했다. 전통시장의 6월 전망 BSI도 63.0으로 3.7포인트 내렸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전망 BSI는 4월 이후 모두 두 달 연속 하락을 보였다.

소상공인의 6월 전망 BSI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4포인트 낮으며, 전통시장 6월 전망 BSI도 1년 전보다 7.0포인트 낮다.

BSI는 지난달 18~22일 소상공인 2400개 업체와 전통시장 1300개 업체를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수치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호전됐다고 보는 업체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악화했다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뜻이다.

소상공인의 6월 전망 BSI를 업종별로 보면 개인 서비스업이 57.8로, 전달보다 14.0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12.7포인트), 수리업(-9.5포인트), 소매업(-8.4포인트), 음식점업(-7.7포인트) 등이 내렸다. 교육 서비스업(7.9포인트), 스포츠 및 오락 관련 서비스업(6.6포인트) 등은 올랐다.

전통시장은 축산물(-10.1포인트)과 농산물(-9.7포인트), 의류·신발(-8.0포인트), 가공식품(-6.1포인트) 등이 내렸다. 반면 가정용품(10.6포인트), 수산물(3.2포인트) 등은 올랐다.

경기전망 악화의 최대 요인은 소비 심리 위축 때문으로 풀이된다. 소상공인들은 경기전망 악화 사유(복수 응답)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42.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날씨·계절성 요인(16.3%), 비수기 영향(9.6%) 등 순이었다.

전통시장(복수 응답) 상인들도 경기전망 부진 이유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요인(45.3%)’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소상공인의 지난달 체감 BSI는 64.4로 전달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9포인트 낮다. 다만 전통시장 5월 체감 BSI는 57.5로 1.4포인트 상승했으나 지난해 같은 달보다 5.7포인트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트럼프 관세’가 게임업계에 불러올 딜레마

국내 게임업계가 딜레마에 놓였다. ‘보장된 시장’ 중국과 ‘기회의 땅’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게임업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에 최대 14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여부는 불명확하지만, 대(對) 중국 기조가 거세짐에 따라 관세 범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