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
세계 중앙은행 ‘금 쟁탈전’ 한창인데…한은만 11년째 요지부동

세계 중앙은행 ‘금 쟁탈전’ 한창인데…한은만 11년째 요지부동

기사승인 2025-02-06 10:42:38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진열된 골드바.  사진=쿠키뉴스DB
최은희 기자
joy@kukinews.com

국제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 순위가 세계 36위에서 38위로 하락했다. 1년 새 2계단이나 떨어진 것이다.

6일 세계금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해 말 기준 104.4t의 금을 보유해 세계 중앙은행 가운데 38위를 차지했다. 국제통화기금(IMF·3위)과 유럽중앙은행(ECB·13위)을 포함하면 40위까지 밀린다.

한국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하다. 이는 상위 40위권 중앙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국제 안전자산인 금 매입에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금값이 고평가됐다는 이유에서다. 한은은 지난해 4월 “금 가격 고평가 견해가 우세하다”며 “향후 투기적 금 선물 매입 포지션이 청산되면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2013년 이후로 금을 추가 매입하지 않고 있다. 한은은 지난 2011년 40t, 2012년 30t, 2013년 20t의 금을 추가로 사들인 뒤 지난해까지 11년 동안 총량을 104.4t으로 묶었다. 이에 따라 한은의 금 보유량 순위도 2013년 말 세계 32위에서 2018년 말 33위, 2021년 말 34위, 2022년 말 36위로 점차 하락했다. 지난해에는 38위까지 떨어졌다. 2023년 말 38위였던 카타르(99.2→110.8t)와 39위였던 헝가리(94.5→110.0t)가 각각 10t 넘는 금을 매입한 결과다.

국제 금 시세는 연일 상승세를 타고 있다. 전날 장중 온스당 2845.14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은이 매입을 멈춘 2013년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뛰었다.

주요국 중앙은행은 ‘금 쟁탈전’에 뛰어들었다. 세계금위원회에 따르면 각국 중앙은행이 3년 연속으로 총 1000톤이 넘는 금을 매입했다. 지난해 연간 투자액은 1186톤으로 4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 4분기에만 333톤에 이른다. 

지난해 말 금 보유량은 미국이 8133.5t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독일(3351.5t), 이탈리아(2451.8t), 프랑스(2347.0t), 러시아(2335.9t)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의 금 보유량은 2279.6t으로 세계 6위 수준이었다. 지난해 33.9t을 추가로 사들여 러시아와의 격차를 좁혔다. 헝가리와 폴란드, 카타르 등까지 금보유량을 급격히 늘리고 있다. 
최은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나경원 “이번 대선은 체제전쟁…이재명 꺾을 것”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위험한 이재명을 꺾고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나 의원은 11일 오후 2시쯤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서 그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진정한 국민 승리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번 대통령 선거를 '체제 전쟁'에 비유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냐, 아니면 반자유·반헌법 세력에게 대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