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항만공사(BPA)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비상운영 체제에 돌입했다.
BPA는 오는 9일부터 발효 예정인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비, 4일 지역 선사 및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들과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오전에는 선사 지사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국내 수출화주들의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한편 선석 스케줄에 혼선이 없도록 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오후에는 터미널 운영사 사장단 간담회에서 미주행 화물 선적 및 출항 일정 실시간 공유와 함께 터미널 혼잡 방지를 위한 운영 최적화 방안 등을 모색했다.
부산항은 미주로 향하는 정기 컨테이너 노선이 기항하는 아시아의 '라스트 포트'(Last Port)로, 관세 적용 직전 시점까지 수출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최후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적 거점항이다.
송상근 BPA 사장은 "부산항은 대한민국 대미 수출의 최대 관문으로, 미국향 화물을 적기에 선적 후 선박을 출항시켜 국내 수출 화주의 물류를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BPA는 급변하는 관세정책 등 통상환경 변동성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선사 및 운영사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