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산불피해, 영농 공백은 짧게 복구는 빠르게’

경북도 ‘산불피해, 영농 공백은 짧게 복구는 빠르게’

피해조사 15일까지 완료‥복구비 신속 지급
원상복구 정부보조금 확대 건의

기사승인 2025-04-10 16:01:20
산불 피해 농가의 신속한 영농복귀를 위해  경북도 16개 시·군에서 104대, 경기도 등 4개 지역에서 51대의 농기계를 품앗이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최근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농축산 분야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산불로 현재까지 확인된 농축산분야 피해는 농작물 3862ha, 농기계 1만883대, 시설하우스 783동, 축사 235동, 부대시설 2411동에 이른다.  

또 가축 피해도 한우 281두, 돼지 2만 5034두, 닭 17만 4027수, 양봉 1만 3740군으로 집계되는 등 피해 규모가 가늠하기 힘들 만큼 막대하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피해 농가의 조속한 영농재개와 생산기반 회복을 위한 종합적이고 선제적인 복구 대책을 강력히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아울러 피해 지역의 항구적인 농업 기반 복구와 농가 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 지원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복구 정책에 총력을 쏟고 있다.

우선 신속한 피해조사 및 복구비 지급을 통한 빠른 영농 재개 발판을 마련한다.

경북도는 신속한 피해 조사를 위해 타 시·군 지원인력 110명을 포함한 총 908명을 투입해 농작물·시설·가축 등의 피해 오는 15일까지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지자체 피해 조사 완료 후 복구계획 확정까지는 60~90일이 소요되지만, 경북도는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고 중앙정부와 협의를 거쳐 1개월 이내로 단축할 계획이다. 

지원 규모는 농작물에 피해가 있는 경우 과수는 ha당 276만원, 채소류는 ha당 218만원이다. 

또 농작물 피해가 심해 다시 식재해야 하는 경우는 사과는 ha당 1766만 원, 마늘은 1054만원 지원된다. 가축 입식비는 한우는 두당 183만원, 돼지는 두당 26만원 책정된다.  

이와 함께 농가 단위 피해율이 50% 이상일 경우에 생계비는 2인 가구 118만원, 4인 가구 183만원 지원한다. 

의무교육 미대상 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가 있을 경우 자녀 1인당 100만원의 학자금도 추가 지급된다.

영농공백 최소화를 위한 조치도 취한다.

경북도는 자체 예산 38억원을 긴급 투입해 피해 지역에 지역별로 시급한 농기계를 우선 구입하도록 지원했다.

또 피해 시·군의 농기계임대사업소는 자체 보유 중인 3040대의 농기계를 피해 농가에 무상으로 우선 임대하고 있다. 

아울러 도내 피해를 입지 않은 16개 시·군에서는 104대, 경기도 등 4개 도에서는 51대의 농기계를 품앗이 방식으로 지원 중이다. 

이와 함께 ㈜대동 등 국내 주요 농기계 4개 업체도 총 79대의 농기계를 무상 임대받아 피해 지역 농업인이 적기에 영농을 재개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탰다.

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재해보험 50%를 우선지급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 비료, 농자재 등을 구입하도록 총 200억원 규모의 무이자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마련해 농가당 최대 1000만원 한도로 제공할 계획이다.  

조건은 상환 기간은 2년이며, 이자율 감면 혜택도 주어진다. 

축산 분야는 (사)전국한우협회 경북도지회를 통해 볏짚 920롤과 건초 50톤을 긴급지원해 빠른 회복을 도모한다. 

경북도는 단순한 피해 복구를 넘어 피해농업인이 일상으로 완전히 돌아갈 수 있도록 항구적 복구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한 제도 개선에도 박차를 가한다.

그동안 과수 피해 농가는 과수고품질 시설현대화 사업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이번에 정부에 건의해 참여할 수 있게 되면서 농가의 부담이 크게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현행 재해복구비의 단가와 지원율도 실제 피해 수준에 비해 낮아 농가의 부담이 큰 만큼, 이를 현실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특히 복구 과정에서 농가의 부담 경감 위해 농기계 구입, 과수 고품질 시설 현대화, 시설하우스 신축 예산 등이 추가로 지원될 수 있도록 정부에 공식적으로 요청한 상황이다.

경북도 김주령 농축산유통국장은 “농가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항구적인 복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노재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