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새로울 것도 놀라울 것도 없다. 예상한 대로만 흘러간다. ‘선수 입장’ 감성의 전형적인 남초 영화 ‘야당’이다.
‘야당’은 대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를 뜻하는 야당 이강수(강하늘),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구관희(유해진),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 오상재(박해준)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엮이며 펼쳐지는 범죄액션물이다.
이야기는 뻔하다. 이강수와 구관희는 상부상조하며, 각각 부와 권력을 손에 넣는다. 그러나 형님 아우 하던 이들의 관계는 박살 난다. 그 배경에는 구관희의 배신이 있다. 이강수는 복수의 칼날을 갈면서, 엉성하게나마 팀을 꾸린다. 좀처럼 안 맞던 팀원들은 어쩐지 점점 끈끈해진다. 하지만 사건이 마무리될 때쯤 몇몇이 구관희의 계략으로 목숨을 잃는다. 이강수는 실의에 빠지지만, 끝내 구관희 일당을 퇴치하는 데 성공한다.
시퀀스 하나하나가 클리셰 범벅이다. 일례로 오상재와 엄수진(채원빈)의 영상통화 신이 그렇다. 이들이 굳이 영상통화를 하는 순간부터 엄수진의 죽음을 직감할 수 있다. 여기에 뜻하지 않게 엄수진을 지키지 못했던 오상재의 수줍은 사과는, ‘이야기가 다르게 풀릴 수도 있지 않을까’란 희망마저 날려 버린다. 그렇게 흔하디 흔한 캐릭터들 중 그나마 신선했던 여성 인물 엄수진은 생을 마감한다.


유일한 반전은 제목 정도일까. 정치물을 연상시키지만, 정치물은 아니다. 그런데 뜯어보면 정치물이 맞기도 하다. 카르텔 내 알력 다툼을 다루기도 하고, 구관희가 유력 대통령 후보인 아버지를 둔 조훈(류경수)과 엮이면서 모든 사달이 나기 때문이다. 생소한 소재인 야당을 이토록 진부하게 풀어낸 것도 반전이라면 반전이다.
연기조차 반전이 없다. 긍정적인 의미다. 강하늘과 유해진은 특유의 쪼가 느껴지지만, 섬세한 인물 표현으로 작품을 무난히 끌고 간다. 특히 마약을 끊었지만 말을 미묘하게 더듬게 된 이강수의 모습에서 강하늘의 디테일한 묘사가 돋보인다. 유해진은 이강수에게 크게 한 방 먹고 우스꽝스러워진 구관희를 능청스럽게 그려 더욱 큰 극적 재미를 선사했다.
박해준, 류경수, 채원빈도 제 몫을 해냈다. 그러나 이들이 잘 해낸 것과 별개로, 인물들이 타고난 개성이 없다. 이들의 모든 행동이 예측 범위 안에 있다. 흥행한 범죄액션물이 대개 그렇듯, ‘이야기가 걸출하지 않다면 캐릭터의 스타성에라도 기댔어야 하지 않나’라는 의문이 남는다. 그래도 떡밥 회수만큼은 확실하다. ‘딱 떨어지는 결말을 원하는 이에게 제안은 해볼 수 있는 킬링타임용 영화’라는 평이 적확하겠다.
오는 16일 개봉. 청소년 관람불가. 상영시간 123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