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정선군에 따르면 올해 초 전 군민을 대상으로 1인당 20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한 데 이어 노인·아동·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복지사업도 연중 운영되고 있다.
공공의료 분야에서는 정선군립병원 재정비가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이다. 응급실 의료장비와 병상 환경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전문의 인력 확보를 위한 인센티브 지원책도 새롭게 도입됐다. 최근에는 보건복지부·강원도와 협의해 '365일 야간진료 체계' 도입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그동안 강릉이나 원주 등 타 지역으로 나가야 했던 건강검진 기능을 강화해, 지역 내에서 기본 검진은 물론 내과·영상의학과 중심의 정밀검진도 가능하도록 개선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정선읍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검진 받으러 강릉까지 다녀오려면 하루가 꼬박 걸리고 비용도 부담이 컸다"며 "이제는 군립병원에서 대부분 해결돼 시간도 아끼고 지출도 줄어들어 훨씬 편해졌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정책은 단기 처방에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복지 행정으로 정착되도록 추진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군민 삶을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복지"라며 "예산 부담을 이유로 후퇴하기보다 지속 가능한 구조로 정착시킬 방안을 함께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선군은 △노인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아동 치과주치의 사업 △장애인 이동지원 차량 추가 도입 등 다양한 생활복지 정책도 함께 확대 중이다.
최승준 정선군수는 앞서 "복지는 정선이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의료·돌봄·생활안전 전 영역에서 군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복지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