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상당기간 전부터 기업회생을 준비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해 경찰에 이첩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24일 오전 여의도 금감원에서 진행된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당국은 회생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와 MBK 주요 경영진 등의 부정거래 혐의 조사 건을 지난 21일 검찰에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이첩한 상태다.
이 원장은 “MBK·홈플러스가 회생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들을 보면 채무자와 대주주, 채권단간 주객이 전도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며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한다는 그간의 우려가 현실화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MBK·홈플러스가) 납품업체에 대한 상거래 채권을 정상적으로 변제하겠다고 수차례 발표한 것과 달리 변제가 지연돼 납품업체의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3월부터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임대료의 감액을 임대인 측에 요구하고 있다”며 “이미 발표한 ABSTB 전액 변제도 다른 채권자들의 동의 및 법원의 허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이 지지부진하게 5, 6월까지 이어진다면 향후 법원 회생 계획안 합의 과정에서 오히려 채권단 등이 정상화 지연에 대해 더 비난을 받고 양보를 강요받는 역설적 상황까지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회사가 위기에 빠지면 경영 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대주주가 자본을 투입하거나 감사를 실시하는 경영책임을 이행한 사례가 일반적이었다”며 “대주주 측의 추가 출자, 주주 우선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자구책에 대해 일언반구 언급이 없다”고 질타했습니다. 앞서 김병주 MBK 회장은 사재출연을 공언했으나, 공직석인 입장은 내놓지 않은 상황이다.
이 원장은 “금융당국은 최소 다음달 말까지는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 이어지는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는 한편, MBK 등에 대한 검사와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 등을 지속적으로 규명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