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희 창원시의원(중앙·웅남동)이 12일 제143회 창원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대상공원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의 개발 이익은 반드시 중앙동 주민을 위해 쓰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창원시에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공동주택 준공을 앞둔 지난 3년 9개월간 중앙동 주민들은 통행 불편, 소음, 분진, 진동 등 극심한 피해를 겪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22년부터 올해 4월까지 해당 사업 관련 민원은 136건에 달한다.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은 민간 사업자가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는 방식이다.
이 의원은 "2021년 사업변경 시행계획에는 주민이 기대하던 사업이 예비비 70억원 규모로 포함돼 있었지만 지난해 10월 창원시가 관련 법 위반 소지를 이유로 이를 철회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주민들의 고통을 외면한 채 공공의 이익만을 강조하는 것은 진정한 공공성이 아니다"며 "초과 수익은 반드시 중앙동 숙원사업에 활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명일 창원시의원 "NC파크 사고, 창원시가 책임지고 안전관리 대전환 이뤄야"
서명일 창원시의원(회원1·2, 석전, 회성, 합성1동)은 12일 열린 제143회 창원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NC파크 추락 사고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창원시 공공시설 안전관리 체계 전면 재점검의 계기가 돼야 한다"고 지적하며 창원시에 철저한 대응을 요구했다.
서 의원은 "60kg 구조물이 떨어져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친 사고 이후 창원시는 긴급 점검과 구조물 철거 등을 시행했지만 국토교통부가 정밀 안전점검을 지시한 것은 사실상 경고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땜질식 처방이 아니라 근본적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며 △NC파크 정밀안전점검 실시 △전 공공시설 전수조사 △공공시설물 하부공간 보호장치 의무화 등을 제안했다.
서 의원은 "사고 이후 창원시의 책임 회피성 대응은 전국적인 불신을 초래했다"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는 잊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서 의원은 이번 사고로 인해 시민 불안뿐 아니라 NC다이노스 구단과의 신뢰, 인근 상권의 피해도 막심하다고 지적하며 "창원시가 보다 책임 있는 자세로 나서고 필요한 예산과 조치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순규 창원시의원 "액화수소플랜트 정상화, 창원시 피해 최소화 최우선"
문순규 창원시의원은 12일 창원시 권한대행과의 면담에서 중단 위기에 놓인 액화수소플랜트사업의 정상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창원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의원은 이날 "두산, 대주단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대화 테이블을 신속히 마련해 합리적 대안을 도출해야 한다"며 시의 적극적 대응을 주문했다. 특히 과거 마산로봇랜드처럼 소송 장기화 시 수백억원의 이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사태 방치 시 창원시에 막대한 재정 부담과 산업 신뢰도 하락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금용 창원시 권한대행도 "무엇보다 해당 설비가 정상적인 성능을 갖춘 것인지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며 "하자가 있다면 인수를 거부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실질적인 가동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양측은 성능 검증과 책임 소재 명확화, 계약조건 재정비를 주요 과제로 꼽고, 창원산업진흥원의 역할에 주목했다. 문 의원은 "진흥원이 수년간 사업을 추진한 만큼 2월 작성한 정상화 방안을 바탕으로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고, 장 권한대행은 "진흥원과 1차 협의 후 의회와도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답했다.
양측은 "현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설비 성능 철저 검증 △계약상 책임 조항 정비 △대주단과의 경영권·채무 협의 등의 단계적 조치를 통해 창원시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