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포자 이유 있었다... 재수해도 수학 성적 안 올라

수포자 이유 있었다... 재수해도 수학 성적 안 올라

글‧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

기사승인 2025-05-13 12:12:04
재수를 하면서도 유독 성적을 올리기 어려운 과목이 있다. 2024학년도와 2025학년도 수능에 연속 응시한 수험생들의 데이터를 통해, 작년 N수생들의 영역별 성적 변화 현황을 살펴보았다.

수능 수학, 상대평가 영역 중 등급 상승 가장 어렵다

수능에서 절대평가인 영어를 제외한 국어, 수학, 탐구 영역 중에서 재수해도 성적이 가장 변하지 않는 영역은 ‘수학’으로 나타났다. 진학사에서 2024학년도에 이어 2025학년도에도 수능을 치른 수험생의 성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중 41.5%는 2년 연속 수학에서 같은 등급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어에서 동일 등급을 유지한 비율이 35.3%, 탐구의 경우 32.6%인 것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 수학 등급이 상승한 N수생의 비율은 41.0%로 국어(45.0%), 탐구(48.0%) 영역보다 낮아, 성적 향상이 가장 어려운 영역이 수학임을 알 수 있다.

데이터 출처: 2024학년도, 2025학년도 연속 진학닷컴 정시 합격예측 이용자 4만1248명 (국어, 수학, 영어, 탐구(2과목) 성적을 모두 입력한 수험생)

부익부 빈익빈 수학, 1등급 유지 비율 70%

2024학년도 수능에서 수학이 1등급이었던 수험생 10명 중 7명(69.6%)은 2025학년도 수능에서도 수학 1등급을 유지했다. 다른 영역에서 1등급을 유지하는 비율이 50%대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그만큼 수학 상위권이 두텁다는 것을 의미한다.

2025학년도 N수생의 성적대별 수능 등급 변화. 데이터 출처: 2024학년도, 2025학년도 연속 진학닷컴 정시 합격예측 이용자 4만1248명(국어, 수학, 영어, 탐구(2과목) 성적을 모두 입력한 수험생)

반면, 중위권 이하의 학생들이 성적을 올리는 것도 쉽지 않았다. 국어, 탐구와 달리 수학의 경우, 5~6등급이었던 학생들 중 등급을 상승시킨 비율이 50%대에 머물렀으며, 7등급이었던 수험생 중에서는 절반도 되지 않았다. 국어나 탐구 영역과 비교하면 월등히 낮은 수치이다. 이는 수학 과목의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수학은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가 심화되어 이어지는 나선형 학습구조를 가진 과목이기 때문이다. 다른 과목에 비해 기초가 부족한 학생들이 성적을 올리기 더 어려운 구조이다.

수학은 학습량이 많고 난도가 높은 과목이라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이 많은데 이는 N수생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정시까지 고려할 경우 수학은 영향력이 매우 높은 과목이므로, 지레 포기하려 하기 전에 본인의 학습에서의 보완점을 먼저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중위권 학생의 경우에는 문제 풀이에만 급급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무엇보다 중요한 건 기본개념과 원리를 숙지하는 것이다. 취약 단원의 개념을 먼저 다진 후, 교재를 여러 번 반복하며 문제풀이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자. 한 번 풀어본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는다는 각오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