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년에 걸친 연안 정비를 거쳐 30년 만에 재개장을 앞둔 부산 다대포해수욕장 동편 해수욕장이 백사장 한가운데 놓인 우수관로 탓에 ‘반쪽짜리’ 개장 위기에 놓였다.
해수욕장 미관을 해치고 피서객 안전을 위협하는 우수관로 이설에 대해 필요성과 논의가 계속됐으나 정비사업 과정에서 묵살돼 ‘흉물 해수욕장’이 탄생했다는 비판을 피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15일 부산 사하구청에 따르면, 오는 7월 다대포 해안 동측지구 백사장이 해수욕장으로 개장한다.
이곳 백사장은 지난해 11월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이하 부건소)가 ‘다대포해안 동측지구 연안정비사업’을 완료하였다. 백사장은 폭 50m, 길이 550m다.
부건소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12년간 국비 335억 원을 들여 방재호안, 수중방파제를 조성하고 4만 9000㎡의 모래를 투입해 해수욕장을 조성했다.
당시 지역 정치권에서는 명품 해수욕장 조성으로 이 일대 경제가 활성화할 것이라고 홍보했다.

하지만 해수욕장 한복판에 대형 우수관로가 버젓이 놓이면서 이 같은 예산 투입은 빛이 바래고 있다.
부건소는 우수관을 가리기 위해 석벽을 조성했는데 이로 인해 길이 550m 해수욕장이 반으로 쪼개졌다.
벽을 세웠지만 여전히 아무나 우수관 구멍에 접근할 수 있어 자칫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의 안전사고 위험까지 제기된다.
2016년 이곳 백사장에 방재호안을 조성할 당시 우수관이 끝나는 위치를 해수욕장이 아닌 인근 성창방파제로 옮기는 방안이 검토됐다.
하지만 설계 과정에서 역류 등 배수 능력이 약화한다는 이유로 해당 방안이 철회됐다.
부건소 측은 해안 침식 예방 등에 정비 사업 초점이 맞춰졌다고 해명했다. 해수욕장 조성이 사업 목적이 아니었기에 우수관 이설이 필수적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부건소 관계자는 “다대포 해안 동측 지구는 당초 연안 보전이 목적인 사업”이라며 “친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기에 우수관을 그대로 두고 정비를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정비 사업 직후 이곳이 해수욕장으로 활용될 때 우수관이 문제가 될 것이라는 점이 충분히 예견된 상황에서 부건소가 행정편의주의 식의 행정을 했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사하구청은 해수욕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우수관 이설 실시설계 용역에 뒤늦게 나섰다.
용역에서는 우수관 출구를 몰운대 쪽이나 성창방파제로 옮기는 방안이 도출됐다.
우수관 이설비용 예산은 25억원,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조상진(남구1) 의원에 따르면 2026년으로 우수관 이설 시기가 확정되었고 시설물의 이관절차도 부건소에서 사하구로 절차가 이행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오는 2025년 7월, 30년만의 다대포 동편해수욕장 재개장은 현재의 흉물스러운 우수관로와 함께 진행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조상진(남구1) 의원은 “수백억 원이 투입돼 추진된 해당 사업이 너무나 허술하게 진행된 것은 문제가 있다. 행정난맥으로 불편을 초래 하게 된 사항이라 피서객들의 안전이 우려가 된다. 시의회 차원에서도 면밀하게 살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