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김 육상양식 기술개발 본격 추진

전북자치도, 김 육상양식 기술개발 본격 추진

해수부 공모 ‘김 육상양식 기술개발사업’ 전북 컨소시엄 선정
국가R&D 예산 350억 확보…김 종자배양·실증시설 구축

기사승인 2025-05-23 11:11:53

전북에서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김 육상양식 기술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전북특별자치도는 해양수산부에서 공모한 ‘지속가능한 우량 김 종자생산 및 육상양식 기술개발사업’에 전북도가 참여하는 연구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해수부 공모로 추진되는 연구는 김 양식 식품안정성 확보와 수급 안정화를 위해 김 육상양식 기술 개발을 위해 해양수산부에서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연구개발비 350억원을 지원한다. 

김 육상양식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에 대응해 겨울철 바다에서만 생산되던 김을 육상의 독립된 환경에서 양식하는 기술을 집중적을 개발한다.

이번 공모에는 CJ, 동원, 대상, 풀무원 등 국내 유수의 식품기업이 참여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김의 안정적인 원료 확보를 위해 기업들은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큰 관심을 보였다. 

이번 공모에 전북자치도가 선정된 배경에는 꾸준한 선행 연구와 지산학 협력체계 구축의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앞서 지난 2022년 풀무원과 공동연구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전북도 수산기술연구소와 함께 김 생산성 향상 연구에 힘을 쏟았다. 지난 2023년부터 공주대학교 김광훈 교수 연구팀과 김 종자 대량배양 연구에 착수, 자체 종자 배양시설도 구축했다. 전북연구원을 통해 지난해 김 육상양식 집적화 단지 조성 방안까지 마련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췄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원택, 윤준병 의원의 적극적인 지원도 공모 선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는 공주대 김광훈 교수와 포항공대 황동수 교수가 주관,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전북도가 유일하게 종자생산 분야 기술개발에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풀무원은 군산시에서 새만금 2공구에 4만평 규모로 조성 중인 ‘수산식품 수출가공단지’에 올해 하반기 실증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육상양식 및 품질관리 기술 개발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다. 풀무원은 지난해 10월 전북자치도, 군산시와 투자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이번 공모 선정은 전북이 김 육상양식 분야의 선두주자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용주 기자
yzzpark@kukinews.com
박용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