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중에 판매 중인 액체형 세탁세제 제품들이 유해 물질 관련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기름·단백질 및 혈액·잉크 오염에 대한 세척 성능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액체형 세탁세제 8개 제품에 대해 품질·안전성 및 환경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해당 제폼 브랜드는 다우니, 리큐, 비트, 스너글, 액츠, 테크, 퍼실, 피지 등이다.
세탁물에 묻기 쉬운 대표적인 오염인 기름·단백질에 대한 세척 성능은 6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혈액·잉크 오염에 있어서는 ‘퍼실 퓨어프레쉬 플러스(헨켈홈케어코리아(유))’가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5개 제품은 ‘양호’했다. 피지 등의 오염은 전 제품 세척 성능이 ‘양호’했다.
일부 제품에서는 뚜껑 사이로 세제 새어 나오는 것으로 확인됐다. 용기로 인한 세제 누액 여부를 평가한 결과, 뚜껑 잠금 부위 사이로 누액이 발생한 ‘퍼실 퓨어프레쉬 플러스(헨켈홈케어코리아(유)’는 용기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하시험 결과에서는 전 제품에서 용기 파손이나 누액은 발생하지 않았다.
유해물질은 8개 전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세제 함유 금지 물질인 벤젠, 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염화비닐, 브롬화에틸과 세제 함유 제한 물질인 전인산염의 함량을 시험한 결과, 전 제품에서 해당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세탁 후 세제가 자연환경(물)으로 배출되었을 때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정도인 ‘생분해도’는 시험대상 전 제품이 기준에 적합했다. 제품 용기의 재활용 용이성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시험대상 8개 제품 중 7개 제품이 ‘재활용 우수’ 등급을 받았다.
표시 대상인 알레르기 반응가능물질 종류는 제품별로 달랐다. 0.01% 이상 사용 시 제품에 성분명을 표기하도록 돼 있는 알레르기 반응가능물질은 모든 제품이 표시기준에 적합했다. 제품에 표시된 알레르기 반응가능물질은 최소 1종에서 최대 5종이었고, 2개 제품이 리모넨 1종만 표시해 가장 적은 수의 물질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세탁물량(3kg)을 기준으로 1회 세탁 비용을 평가한 결과, 1회 세탁 비용은 ‘액츠 퍼펙트 실내건조_비(㈜피죤)’가 56원, ‘스너글 액체 세탁세제 블루스파클 플러스+실내건조(유니레버코리아㈜)’가 176원으로 제품 간 3배 이상 차이 났다.
상세한 시험 결과는 소비자24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품질 비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