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런 난제들이 완치된 것이 아니라 현재진행형 또는 잠복형이라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TK(대구·경북) 인사 독식 문제는 새로운 갈등의 축으로 부상했고, 경제위기 상황은 해결의 기미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다 진보진영을 중심으로 한 반(反) MB 진영은 또다른 촛불을 들고 언제든 광장으로 뛰쳐나올 채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인사 문제를 쇄신하고 국민 통합을 이뤄내는 한편 경제위기를 극복한다면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다. 그래서 3대 암초는 위기이자 기회인 셈이다.
◇고소영과 강부자=집권 초기 인사 실패는 두고두고 이명박 정부의 발목을 잡았다. 장관 내정자들의 땅 투기 의혹, 청와대 참모진의 100억대 재산 등은 국민 정서와 충돌했다. 측근들의 인사 전횡이나 인사검증 시스템 실종 등에 대한 비판이 잇따랐다. 이춘호(여성부), 남주홍(통일부), 박은경(환경부) 장관 내정자들은 인사청문회장에 서보지도 못하고 줄사퇴했다.
각종 조어들도 양산됐다. 이명박 정부는 고소영(고대·소망교회·영남), 강부자(강남 땅 부자) 내각이라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또 S라인(서울시청 출신 인사)도 아픈 대목이다.
하지만 인사 논란은 여전하다. 김진표 민주당 최고위원은 “현 정부는 영남향우회 정권”이라고 비판했다. 지역 편중 시비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 국민통합은 요원하다는 게 한국 정치사의 산 교훈이다.
◇촛불 시위=촛불집회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6월10일 서울시청과 광화문 일대엔 촛불을 든 수십만의 인파가 운집했다. 경찰은 8만명, 주최측인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70만명이 모였다고 추산했다. 부산·대구·광주·대전·인천 등 전국 각지에서도 촛불이 타올랐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촛불집회는 지난 1년동안 이 대통령에게 가장 큰 변화를 끼친 사건”이라며 “촛불집회 전후로 이 대통령 리더십은 확연히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이를 계기로 국민과의 소통 문제에 접근했다.
하지만 이현우 서강대 정외과 교수는 “촛불집회를 전후해 이 대통령의 리더십이 본질적으로 바뀌었는지에 대해선 의문이 든다”면서 “이 대통령은 촛불집회를 통해 상대방의 다른 의견을 수용할 수 있는 정치적 포용력을 배워야 할 것”고 말했다.
◇경제 위기=인사 문제와 촛불집회가 이명박 정부 내부에서 온 위기라면, 경제위기는 미국 금융위기에서 촉발된 외부발 위기다. ‘7·4·7(7% 성장·국민소득 4만 달러·7대 경제 강국)’ 공약은 휴짓조각처럼 치부됐다.
그러나 경제위기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오히려 소폭 상승했다. 이 대통령을 뽑은 게 그나마 다행이라는 여론이 퍼졌다. 특히 미국과의 300억달러 통화 스와프 체결과 중국·일본과의 통화 스와프 확대를 통해 금융위기 우려를 해소한 것은 지난 1년 최대 지적으로 평가받는다. 경제위기 극복 여부에 남은 4년 임기의 운명이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