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은 17일 ‘최근 단기 유동성 증가에 대한 판단’ 보고서에서 “과거 우리 경제에서 자산시장 버블이 형성·붕괴됐던 경험에 비춰볼 때 최근의 단기 유동성 증가세가 당장 자산시장 과열을 초래하거나 통화정책 기조를 변경해야 할 정도는 아니지만 향후 자산가격 급등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경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KDI에 따르면 최근 협의통화(M1) 증가율과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간의 격차는 2002년 신용카드 버블이 형성돼던 시기의 초기 단계와 유사하다. 두 지표의 격차는 지난해 4분기에
플러스를 나타낸 이후 올해 1분기에 12.4%포인트까지 커졌고, 2분기에도 M1 증가율이 17.6%에 달해 더 확대됐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과거 우리 경제는 M1과 명목 GDP의 격차가 통상적인 추세를 크게 상회했을 때 버블 붕괴에 따른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의 코스닥 시장 버블과 2001년 IT 버블 붕괴 이후의 신용카드 버블이 형성된 것도 두 격차가 통상적인 변동 범위를 넘어선 경우이다.
김 연구위원은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면 물가가 빠르게 상승할 위험이 높다”며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선제적인 정책 판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배병우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