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생활] “화장품 장사? 대기업이 운영하는 화장품 브랜드숍이 동네에 판을 치는데 장사가 잘 될 턱이 있나. 개인 사업자는 벌어먹고 살기 힘든 세상이지”
대기업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화장품 매장들이 급증하면서 동네 화장품 가게들은 설 자리를 잃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대기업 빵집과 동네빵집에 이어 대기업 화장품 매장과 동네 화장품 가게의 신경전도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서울의 한 골목시장에서 장사를 하는 화장품 가게 아저씨의 경제적 상황은 절박했다. 프랜차이즈 화장품 매장에 손님을 뺏겨 장사가 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실상은 생각보다 더 심각했다. 이 동네 골목 시장 부근을 살펴보니 유명 화장품 기업의 브랜드 매장들이 약 50m 간격으로 6개나 들어서 있었다.
화장품 브랜드 매장들은 저마다 손님들을 뺏기지 않기 위해 적게는 30%에서 많게는 50%까지 연일 세일 이벤트를 벌이고 있다. 유명 화장품 회사들은 소비자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각종 프로모션을 많이 한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동네 화장품 가게들은 경쟁력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화장품 브랜드매장으로 사업을 전환하려다 가맹비가 부담돼 포기한 이들도 적지 않다.
최근 대기업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매장으로 인해 영세업자가 상당히 많은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지난 2월 5일 동반성장위원회는 제과점업과 외식업 등 생계형 서비스업 총 16개 업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했다.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뿐만 아니라 대형마트나 백화점 내 입점하는 제과점의 ‘확장 자제 및 진입자제’를 권고했다. 그러나 화장품 매장에 대한 규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같은 동네에 한 대기업이 운영하는 브랜드 매장이 여러개가 있어도 제한할 수 있는 법적 제도가 없다. 물론 새롭게 재편되는 시장 경제의 흐름을 역행하자는 의미는 아니다. 최소한의 방편은 마련하자는 것이다.
2013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민들은 ‘경제 민주화’에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경제민주화는 한쪽의 일방적 성장보다 경제 주체 간의 균형 있는 부의 분배를 추구하는 개념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기업과 영세업자가 상생할 수 있는 길이 열릴까. 국민들은 눈과 귀를 열고 있다. vitamin@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