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11일 제2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 보고한 하반기 수출확대 방안에 따르면 그동안
중간재에 집중됐던 중국 수출 품목을 1차산품, 소비재 등으로 다변화키로 했다. 소득수준 향상과 맞물려 점점 비대해지는 중국의 내수 시장을 집중 공략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소비재·첨단부품소재·중서부시장 등을 ‘중국 3대 내수시장’으로 정하고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측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소비재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한국제품을 선호하는 현지 대형 유통업체와의 장기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징동상청과 아마존 등에 한국관을 운영하고 중소기업 전용매장(K-HIT)도 확대 설치할 방침이다. 구매사절단, 유력바이어 초청을 통해 농수산식품 수출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국내 기업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규모 물류시스템 구축도 중장기 과제로 검토하기로 했다.
중국 글로벌 기업에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첨단소재·부품 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기업에 기술개발과 납품을 동시 진행하는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을 확대하고 중국 완성차업체의 한국산 자동차부품 실시간 조달체제인 밀크런(Milk-Run) 구축도 추진하기로 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 전략, 대이란 무역제재 등으로 한층 높아진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도 담겼다. 환위험에 노출된 수출기업의 부담을 줄이고자 환변동보험의 인수 규모를 현재 2조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증액하고 자동차부품 등 장기공급계약을 맺는 업종의 경우 보험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한다.
대이란 무역제재에 따른 수출 감소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소·중견기업에는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한다. 산업부는 2300여개 대이란 수출기업 가운데 500∼700여개가 이번 제재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비(非)제재품목의 경우 수출에 애로가 없도록 수출화물 운송 정상화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그동안 접수된 수출기업의 ‘손톱 밑 가시 뽑기’ 추진 계획으로는 부처별로 운영돼 혼란을 주고 기업 부담을 가중시키는 유사 인증제도를 내년까지 통폐합하는 방안이 보고됐다. 이와 함께 전자무역인프라 사용 요금제를 내년 7월까지 폐지해 총 3만4000개 무역업체가 106억원의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는 안도 포함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