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김현정 부원장 등 3명은 13일 ‘소득 및 연령 그룹별 물가상승률 차이에 대한 분석’ 보고서에서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현행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체 가구의 품목 지출액 비중에 가중치를 둬 지출이 많은 고소득층 소비성향을 더 많이 반영하는 단점이 있지만, 가구균등물가지수(D-CPI)는 ‘1가구 1표’ 방식으로 물가를 보여준다. 이에 연구자들은 D-CPI를 사용했다.
연구자들은 2010~2013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대상 8000가구의 392개 지출품목을 분석하면서 개별 가구의 품목 지출 비중을 단순평균한 값을 가중치로 사용해 D-CPI를 산출했다. 이 결과 2011년 1분기~2013년 2분기 중에는 소득 하위 50% 가구의 물가상승률이 중상위 소득계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2013년 2분기 이후를 제외하면 60~70대 가구주 그룹의 물가상승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물가상승기에 저소득·고령가구의 물가상승률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은 이들 그룹의 지출 비중이 큰 품목들(석유류·농축산물·집세·전기·수도·가스 등)의 물가가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이다. 물가상승세가 급격히 둔화된 2012년 이후엔 농축수산물과 조제약 등의 가격 하락이 저소득·고령가구의 물가상승률 둔화에 크게 기여했다.
연구자들은 “농축수산물 가격이 예년 수준을 회복하거나 유가 등 국제상품가격이 세계 경제 회복세에 따라 상승하는 경우 물가 기조가 바뀔 가능성이 적지 않다”며 “저소득·고령층의 소비 비중이 큰 품목들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설 때 이들 그룹의 물가상승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