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에 먹구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에 먹구름

기사승인 2014-07-07 19:21:55
1년 앞으로 다가온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아시아 최대의 문화시설로 문을 열게 되지만 운영주체조차 아직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은 7일 “옛 전남도청 부지에서 진행 중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가 93%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문화전당은 늦어도 연말까지 건축·내부 공사를 마무리한 뒤 시험운영을 거쳐 2015 광주유니버시아드 대회가 개막하는 내년 7월 이전 공식 개관할 예정이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들이 본부로 사용한 옛 전남도청 본관 중 일부를 살린 문화전당은 아시아예술극장 등 주요시설을 지하 10개 층 깊이에 골고루 배치한 지하광장 형태다.

하지만 완공을 눈앞에 뒀는데도 운영주체를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해 문화전당이 제대로 문을 열 수 있을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는 문화전당을 특수법인으로 전환해 그 운영을 가칭 ‘아시아문화원’에 위탁하고 경비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문성이 극대화된 특수법인이 운영주체로 적합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예술의 전당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특수법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며 문화전당이 문체부 소속기관이 될 경우 수의계약에 제한을 받는 등 효율적 운영에도 어려움이 많다고 밝혔다.


이에 맞서 광주시와 광주지역 국회의원 등은 원칙적으로 문화체육부 소속기관으로 묶어둬야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정부에서 의무적 재정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소속이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중앙박물관처럼 국가 직속기관 형태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국회에는 정부의 입장이 담긴 ‘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일부 개정안’과 새정치민주연합 박혜자(광주 서구갑) 의원이 대표 발의한 동일한 명칭의 개정안이 나란히 제출돼 계류 중이다. 문화전당의 ‘뼈와 살’을 채워 넣을 아시아문화개발원장 자리가 1년 넘게 공석인 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난해 5월 당시 이영철 원장이 사퇴한 이후 드넓은 문화전당에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채워 넣을 ‘수장’이 1년 넘게 공백사태를 빚고 있다.

후보추천위원회가 지난 3월말 광주 출신 후보를 적임자로 선정하고 추천했지만 정작 문체부는 ‘후보검증’을 이유로 3개월 넘게 원장 선임을 미루고 있다. 이로 인해 문화전당 5개 시설 콘텐츠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각종 전시·공연의 주제 등을 조정하는 작업은 아예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문화전당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은 정부가 2004부터 2023년까지 20년간 광주에 5조3000억원을 투입하는 아시아 최대의 문화사업이다. 아시아예술극장과 민주평화교류원, 아시아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어린이문화원 등 5개 시설로 구분된 문화전당은 12만8621㎡ 부지에 연면적 17만3540㎡로 2005년 10월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부지 10만612㎡)에 비해 1.2배 큰 규모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장·단점을 비교해 문화전당 운영주체 문제를 조속히 매듭짓도록 하겠다”며 “아시아 최고의 문화발전소가 될 문화전당은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고유문화가 결합된 창작물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장선욱 기자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장선욱 기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