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는 주로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 등 더운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방역이 상대적으로 허술한 북한의 영향으로 인천, 경기북부, 강원 등 북한 접경지역에서 말라리아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리아로 다른 말라리아에 비해 치명적인 정도는 덜하다. 다만 2011년에는 국내에서도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이 지역 거주자들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970년대 후반 퇴치됐던 국내 말라리아는 1993년 비무장지대에서 복무 중이던 군인에게서 발생한 뒤 2000년 연간 환자수가 4000명까지 치솟았다. 이후 적극적인 방역 조치로 감염자수가 감소해 현재 우리나라는 국제보건기구(WHO)의 말라리아 프로그램 중 ‘퇴치 전단계(Elimination Phase)’에 속해 있다.
지난해에는 모두 638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했는데 해외에서 감염된 80명을 제외한 558명이 국내에서 감염됐다. 이 중 156명이 군인이며 402명은 민간인이었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방부와 함께 환자 공동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한편 말라리아 발생지역과 남북출입관리소에서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밀도와 원충 감염을 감시하고 있다.
말라리아 감염을 피하기 위해서는 매개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에는 야간 야외 활동을 가능한 자제하고 외출 시에는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등 해외의 위험지역을 여행하는 여행객은 출국 2~4주 전에는 적절한 말라리아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집 안에 모기가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방충망, 모기장, 실내 살충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며 “해외의 위험지역 여행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epi0212@kmib.co.kr
[쿠키영상] 일본 AV배우가 출연한 '벚꽃엔딩' 노래방 뮤비
[쿠키영상] DJ소다 디스곡 'CSP - 맘에 안들죠', '이태임 예원 DJ소다까지 1타 3피 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