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 6개월간 리콜 대상이 된 자동차 10대 중 2대는 결함을 제대로 수리하지 않은 채 도로를 질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송언석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4년 6개월간 리콜 대상이 된 자동차는 총 707만 3736대, 이 가운데 18.9%(133만5923대)는 현재까지도 결함을 완전히 수리하지 않고 도로를 운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리콜은 자동차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되면 문제가 확인된 부품 등을 수리, 교환하거나 환불, 보상 등 방법으로 이뤄진다. 자동차 제작·판매사는 우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해당 차량 구매자에게 리콜 사실을 알리고 1년 6개월 이상 리콜을 실시한다.
한편 조사 기간 리콜 대상이 된 전체 차량 중 국산차는 73.4%(519만여대), 수입차는 25.5%(181만여대)로 조사됐다. 오토바이 등 이륜차는 1.1%(8만여대)를 차지했다.
리콜 대상 차량이 정비·수리 등을 통해 시정을 완료한 비율은 국산차가 83.4%로 가장 높았고, 수입차는 76.4%, 이륜차는 40.7%로 조사됐다.
자발적 리콜이 아닌 강제 리콜 대상이 된 차량은 24만여대였고, 이 가운데 15.0%(3만6000여대)가 여전히 결함을 시정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2015년 12월 에어백 문제로 리콜이 진행된 르노삼성자동차의 SM6 모델의 경우 현재 시정률은 52.6%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차량은 에어백이 펴질 때 과도한 폭발압력이 발생해 탑승자에게 금속 파편이 튀며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절반 가까운 차량 소유자가 아직도 리콜에 응하지 않고 있었다.
2016년 8월 리콜을 시작한 BMW X 시리즈 2개 모델의 경우도 시정률이 각각 43.6%, 47.4%에 불과했다. 이 두 모델은 어린이 보호용 좌석이 용접 불량으로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제기됐다.
송언석 의원은 “리콜 대상 차량의 리콜을 미루는 것은 운전자는 물론 다른 사람의 안전까지도 위협할 수 있는 행위”라며 “리콜 대상 차량 소유주는 리콜 안내를 받은 즉시 결함을 시정하고, 자동차 회사와 정부는 보다 철저히 리콜 관리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엄예림 기자 yerimuhm@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