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22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3년 이후 경기도 아파트 가격 대부분이 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 올랐다”며 이같이 밝혔다.
경실련은 KB 국민은행 등 부동산 시세정보를 활용해 2003년∼2020년 경기도 시·군내 표준지에 있는 67개 단지 6만여 가구의 시세를 정권별로 비교·분석했다. 노동자 연 임금은 통계청 고용 형태별 임금자료를 활용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경기도 내 30평형 아파트값은 2003년부터 올해까지 17년간 평균 2억6000만원(2억원→4억6000만원) 올랐다. 이 중 96%에 해당하는 2억5000만원이 노무현·문재인 정부 시기 상승액으로 조사됐다.
평균 경기도 아파트값은 노무현 정부에서 1억1000만원(59%↑·2억원→3억1000만 원), 문재인 정부에서 1억4000만 원(42%↑·3억2000만원→4억6000만원) 올랐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3000만원(3억1000만원→2억8000만원) 소폭 하락, 박근혜 정부에서는 4000만원(2억8000만원→3억2000만원) 소폭 상승했다는 것이다.
1기 5대 신도시(분당·평촌·일산·산본·중동) 아파트는 문재인 정부에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드러났다.
성남시 분당 시범단지 우성은 조사 대상 아파트 중 집값이 가장 많이 올랐다. 이 아파트 32평형은 17년간 평당 평균 2천651만원(1천147만원→3천798만원) 상승했는데, 문재인 정부 임기에만 1860만원으로 뛰었다.
경실련은 이처럼 집값이 급격히 상승한 탓에 현 정부에서 서민들이 경기도에 30평 아파트 1채를 마련하기 더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경실련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에서 노동자가 연평균 3천400만원을 버는데, 임금을 전액 모은다는 가정 하에 4억6000만원인 경기도 30평형 아파트를 사기 위해선 14년이 걸린다고 경실련은 분석했다.
반면 박근혜 정부에서 노동자는 연평균 3천100만원을 벌며, 경기도 아파트값은 3억2000만원으로 임금을 모두 저축한다면 주택 구매를 위해 10년이 소요된다.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