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정부 규제까지…‘다사다난’ 건설업계, 어떤 일 있었나 

코로나에 정부 규제까지…‘다사다난’ 건설업계, 어떤 일 있었나 

기사승인 2020-12-29 06:17:01
▲서울의 한 모습. 사진=박효상 기자
[쿠키뉴스] 안세진 기자 =올해 건설업계는 코로나19 장기화와 정부의 규제 등으로 어느 때보다 힘든 한 해를 보냈다. 이에 대응하고자 업계는 비대면 서비스 및 기술을 시장과 현장에 도입하는가 하면, 신재생 에너지 등 앞으로 업계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고민을 하고도 있다. 여기에 최근에는 건설안전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묻는 사회적 요구 등도 거세지면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가장 처음 드라이브스루 총회를 도입한 강남 개포 주공1단지 재건축 조합. 사진=연합뉴스

코로나發 비대면 기술·서비스↑

K방역을 상징하는 ‘드라이브스루’ 방식이 부동산 시장에도 퍼졌다. 코로나로 인해 대규모 총회가 금지되면서 사업진행이 불가피해진 재건축 조합이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아이디어가 그 시작이었다. 이후 일부 대형건설사가 분양 현장에도 이같은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최근 드라이브스루 방식은 점차 줄었지만, 사이버 모델하우스는 여전히 분양업계에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건설사들은 자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가구별 가상현실(VR) 영상과 입지, 단지 배치, 특장점 등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밖에도 비대면 스마트건설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가상현실 기술인 AR ▲건설장비 자동화 시스템 및 스마트현장관리 시스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3D 스캔 ▲드론 등은 이미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건설사들은 기존 주택건설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에 진출을 꾀하고 있다. 사진=안세진 기자

친환경·신재생에너지 등 코로나發 신기술↑...그린뉴딜 정책도 한몫

올해 건설사들은 ‘친환경’과 ‘신재생에너지’ 등 신사업 영역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본업인 건설업만으로는 실적을 올리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 정부가 ‘한국판 뉴딜 계획’을 발표하면서 친환경 산업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무게중심을 둔 ‘그린뉴딜’ 정책을 펼치겠다고 선언한 것도 이 같은 건설사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예컨대 현대건설은 지난 10월19일 발표한 ‘현대건설 2025’에서 저탄소·친환경 경제에 대한 관심 증대에 발맞춰 수소연료발전, 해상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와 스마트팜, 바이오가스 등의 친환경 사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SK건설은 지난 7월 친환경솔루션 부문을 신설하고, 에너지기술 부문을 신에너지솔루션 부문으로 바꾸는 조직개편을 통해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격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GS건설은 해수담수화 기술과 하·폐수를 정화하는 기술을 보유한 자회사 ‘GS이니마’를 통해  수처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태양광 개발사업을 수주하는 등 친환경‧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롯데건설도 친환경과 신재생에너지라는 화두에 무게중심을 두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박효상 기자

그럼에도 청약열기 ‘활활’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올해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기록적인 청약 경쟁률이 연이어 쏟아졌다. 이는 올해 아파트 매매가격이 급등했고, 정부가 지난 7월29일 집값 안정을 위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를 부활시키면서 분양가와 시세 차이가 벌어지는 등 ‘로또 분양’에 대한 주택 수요자들의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올해 수도권 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38.4대 1로 지난해의 약 3배 수준이었다. 부산에선 평균 558대 1이라는 역대급 청약 경쟁률 기록이 나오기도 했다. 국민 10명 중 3명이 1순위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청약 경쟁률을 높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청약통장 1순위 가입자 수는 1494만명을 넘어섰다.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재건축 사업지. 사진=안세진 기자

재건축,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국내 건설사들은 올해 코로나19 사태 여파 등으로 해외공사 수주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돌파하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현대건설은 서울 용산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 등 대규모 도시정비사업 등 총 16개 사업을 수주하면서 올해 4조7383억원의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다. 또한 롯데건설, 포스코건설, GS건설이 수주액 2조원을 돌파했고, 현대엔지니어링, 대림산업, 삼성물산은 1조원을 넘어섰다. 

이 같은 건설사들의 움직임은 도시정비사업이 상대적으로 정부의 부동산 관련 규제가 덜하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에도 정부의 규제가 더욱 심화되고, 코로나19의 여파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도시정비사업 분야의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올해 막바지까지 치열한 수주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도스보카스 정유 프로젝트 공사 현장. 사진=삼성엔지니어링


연초·연말 집중된 해외수주 ‘선방’

올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건설 공사 수주 실적은 코로나19로 연초와 연말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의 해외건설 수주액은 315억달러(약34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189억달러) 대비 67.7% 늘어난 수치이자 최근 4년 평균 수주액(279억 달러)를 훌쩍 넘는 실적이다.

국내 건설사들은 지난 1∼2월 사우디아라비아 가스프로젝트, 알제리 국영석유회사 정유공장, 방글라데시 다카국제공항, 카타르 루사일 타워프로젝트 등의 대형 해외공사를 연이어 수주하면서 1분기에만 112억달러를 수주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이 발생했던 2분기부터 해외건설 수주액은 약 49억달러로 1분기 실적보다 반토막 이상 급감했고, 3분기에는 더욱 감소한 23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침체의 늪에 빠졌다.

그러다 올해 4분기 들어 중남미와 유럽 등의 주요 국가들이 코로나 위기 타개를 위한 경기 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프로젝트 발주가 다시 구체화하기 시작했고, 연말 국내 건설사들의 대형 공사 수주가 다시 이어지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 실적을 넘어서는 결과를 달성했다. 
▲국토교통부. 사진=박효상 기자

건설안전 관련 처벌법 논란

중대재해법은 현재 건설업계의 주요 이슈 중 하나다. 현재 입법을 추진 중인 중대재해법은 산업재해 발생 시 처벌 대상을 사업주로 확대하고, 형사처벌 등의 처벌을 가능케 하는 제정법이다.
 
산업계 전반에서 중대재해법 도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며 반대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이미 올해 초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표를 7년 이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있기 때문에 중대재해법을 제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입장이다.

특히 건설사마다 공사 현장 수가 수백개가 넘으면서 사업주가 모든 현장을 둘러보며 위험요소 등을 확인해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주장이다. 건설사들이 최소한의 수주만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건설산업이 쇠퇴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