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향한 정치권의 뜨거운 관심, ‘지선’까지...그 배경은

‘청년’ 향한 정치권의 뜨거운 관심, ‘지선’까지...그 배경은

절대 인구수 적어도 ‘정책·공약’ 따라 변심 가능
청년층의 정치적 불만 해소 차원도

기사승인 2022-05-17 06:00:06
20·30 청년 정치인인 박지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준석 국민의힘 당 대표.   연합뉴스

지난 20대 대선 ‘스윙보터(swing voter)’로서 정치권의 뜨거운 구애를 받은 청년층의 인기가 6·1 지방선거까지 이어지고 있다. 청년들의 표심이 대선 때만큼 파급력이 있을지는 미지수나 지난 대선을 기점으로 ‘청년정치’에 대한 정치권의 주목도가 높아진 건 부정할 수 없다.

이를 반영하듯 성년의 날인 16일. 지방선거를 보름 여 앞둔 각 후보들은 청년 공약 발표하거나 청년 간담회를 열어 젊은 층의 지방선거 표심 잡기에 분주했다. 

국민의힘 서울시장, 경기도지사 후보로 나선 오세훈 후보와 김은혜 후보는 이날 오전과 오후 각각 청년 공약을 발표했다. 송영길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와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나선 이재명 후보는 이날 저녁 젊은이들이 밀집하는 홍대 거리로 나와 청년들과 만났다. 김동연 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는 이날 청년과 관련된 직접적인 일정을 소화하진 않았으나, 전날 청년 서포터즈를 만나 출범식을 여는 등 청년 친화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청년들에게 크게 주목하는 이유는 단순 청년 표심 공략 차원이 아니다. 투표권 절대 수만 따지면 선거 전략 차원에서는 다소 비효율적인 공략 대상이다. 다만 표심을 금방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캐스팅 보트’로서의 역할로서 주목하고 있다.

또 정치 전문가들은 최근 이어지고 있는 ‘청년정치’ 주목 현상은 선거철에만 나타나는 일회성이 결코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고, 멀게는 정치 지형을 바꿀 수 있는 정치적 화두이기도 하다고 강조한 전문가도 있었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맞붙은 송영길 민주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각 선거캠프


왜 주목하는가? “정책·상황 따라 표심 바꾸는 정치 성향 덕분”
“청년정치는 세계적 추세”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최근 정치권의 특별한 주목받는 이유를 그들의 정치적 유연성 때문으로 봤다. 노년층과 장년층의 경우는 정치적인 성향이 이미 고착화된 측면이 있지만, 청년층은 정책이나 자신이 처한 환경에 따라서 지지 정당과 별개로 다른 판단을 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공진성 조선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청년층은 (정당에 대한) 지지 성향이 비교적 고정돼 있지 않고 유연하기 때문에 노년층에 비해 절대적 인구수는 적지만, 스윙보트로서 정치권의 관심을 받게 된다”며 “특히 최근 청년 취업난이 심각한 수준까지 이르면서 사회와 정치권에 대한 청년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자신들을 지지하도록 하는 득표 전략 차원으로 청년층을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비슷한 취지로 발언했다. 이 교수는 “대선을 통해 2030세대에게 ‘보팅 파워’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니 후보들이 지선에서도 청년 공약을 내걸고 있다”며 “젊은 층의 정치 참여는 이미 전 세계적인 추세고, 일부 국가에선 40대 대통령도 장관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아직 그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고, 인위적이지만 노력하는 모습이다”고 현 상황을 분석했다.

청년들과 소통하는 경기도지사 후보들. 김동연 민주당 후보,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   각 선거캠프


“청년 당 대표만으로 청년정치 실현 어려워”
“청년에 대한 정치권 관심 증대는 고무적”

민주당은 지난 3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면서 공동비대위원장에 여성·청년 정치인인 박지현 전국여성위원회 부위원장을 앉혔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36세의 이준석 대표를 당 대표에 선출했다. 2년여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일들이다.

다만, 문제는 청년들이 바라는 정치적 실현을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여야 모두 당 지도부를 20·30대로 발탁하면서 청년정치를 선언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들의 현실적 고민을 담아내기는 아직 턱 없이 부족하다. 현재 2030 청년들이 바라는 정책들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 통한 청년 취업난 해소, 집값 안정 등인데 이 과제들은 현재 진행형이다.

장우영 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현재 청년정치인들이 기성 정당들을 통해 데뷔하고 있지만, 완성된 청년정치는 아니다”면서 “어느 시점을 넘기면 기성정치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걸 넘어 스스로 조직화하는 단계까지 넘어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아직 청년정치에 대한 확정적인 정의를 내릴 순 없지만, 생물학적 나이 기준이 아닌 젊은 세대가 마주한 사회경제적 현실을 어젠다로 삼는 게 청년정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준한 교수는 “얼마 전까지 청년정치는 선거를 치르기 위한 일회성 이벤트에 지나지 않았으나 최근엔 각 정당에서 제도적으로나마 청년들이 정치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면서 청년정치가 활성화되고 있다”며 “청년정치를 심화하기 위해서는 청년들을 바로 국회에 진입시키는 깜짝 발탁보다는 기초의회에서부터 기량을 쌓아 중앙 정치까지 진출하는 확고한 시스템이 더욱 유익하다”고 말했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
황인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