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지원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지원 현황을 공개했다. 정부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개 기업에 818억원을 지원했으나, 올해에는 6월 말 기준으로 한 곳도 지원하지 않고 있다. 2022년도 임상지원을 위해 책정된 예산 475억원도 불용으로 남게 될 상황인 것이다.
정부의 치료제 연구개발 지원 세부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부터 셀트리온 520억원, 대웅제약 133억원, 샤페론 91.3억원, 녹십자 58억원, 동화약품 16.4억원의 지원이 이뤄졌다. 이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고 시판된 치료제는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가 유일하다.
이 의원실은 “렉키로나주가 허가를 받은 뒤 정부에서 9.9만명 분을 구매했으나 실제 일선 의료현장에서 사용된 것은 41%에 불과했다”며 “업계 관계자는 사용량이 저조한 이유를 항체치료제가 오미크론 등 변이에 효과가 없다는 점,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 된 점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녹십자의 경우 치료제 개발을 중단했다. 대웅제약는 임상시험을 마무리했지만 개발에 진전이 없는 상태다. 동화약품, 샤페론의 경우 아직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지난 정부는 3년 동안 1552억원이 넘는 예산을 편성해 기업들을 지원하면서 치료제 개발이 중단된 이유 및 원인 분석, 향후 계획 등 이후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엄승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상무는 ”신약 개발 사업이 중단되더라도 그 속에서 발견된 성과가 매장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며 “미국의 경우 모든 부처가 협력하여 치료제 개발을 이뤄낸 것처럼, 국내에도 신약개발을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사후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제네릭 개발에만 집중하던 우리나라 제약사들이 코로나19 신약개발에 뛰어든 것은 성공 여부를 떠나 긍정적으로 본다”며 ”윤석열 정부가 치료제 강국을 발표한 만큼, 임상 결과를 철저히 분석하고 제약사들이 경험과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계획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한성주 기자 castleowner@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