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왜 해요” MZ 질문에...6·15 주역들 “우리 삶의 문제”

“통일 왜 해요” MZ 질문에...6·15 주역들 “우리 삶의 문제”

6·15 남북공동선언 기념토론회 개최
임동원·정세현·김한정 등 패널 참석…청년 4인 질문에 답해
개회식에 김진표·이해찬 등 야권 정치인 대거 참석

기사승인 2023-06-14 21:55:10
6·15 남북공동선언의 주역이자 산증인인 임동원 전 국정원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23주년 기념토론회에서 청년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황인성 기자

“통일은 왜 해야 하나요?”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23주년 기념토론회에서 나온 청년 세대의 당돌한 질문이다. 

생각에 따라 다소 황당한 질문으로 비칠 수 있지만 합리성을 추구하는 청년 세대에게는 충분히 공감되는 질문이다. 통일은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 서로 무시하고 살면 되지 않겠느냐는 게 보통 청년들의 생각으로 일부 청년은 불확실한 기회비용을 들여가면서까지 통일이라는 모험이 필요하겠느냐고 생각하기도 한다.

6·15 남북 정상회담을 겪은 자칭 6·15 세대는 청년 세대의 질문에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안고 살아갈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통일을 정치구조의 결합, 법적 결합적 관점으로만 보지 말고, 시선을 넓혀 경제·문화적인 공존의 모습으로 보는 것도 또 다른 통일의 모습이라고 조언했다.

임동원 “평화 없다면 결국 남북 공멸”
“정치적 결합 쉽지 않아…경제·사회·문화 교류 ‘사실상 통일’”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임동원 전 국정원장은 “분단이 계속 유지된다면 전쟁의 불안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젊은 세대들의 통일에 대한 관념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분단이 해소되지 않으면 남북한의 정통성 경쟁, 승패 게임에서 결코 헤어 나올 수 없다. 되려 외국에 이용당하는 신세가 된다”며 “우리 민족의 에너지의 헛된 낭비를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전쟁을 겪은 세대로서 전쟁의 참상을 전하면서 적대 관계를 해소하지 않으면 남북한 공멸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임 전 원장은 “한국 전쟁에서는 한반도 인구의 5분의 1이 죽고, 전 국토는 초토화됐다. 다시 이런 일이 안 일어나려면 현상 유지로는 안 된다. 통일이 필요하다”며 “당장 통일될 가능성이 희박하나, 필요하지 않다는 생각은 하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경제·문화적 교류의 활성화로 완벽한 통일은 아니지만, 사실상 통일의 모습을 이룰 수 있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임 전 원장은 “통일은 당장 하자고 될 일은 아니다. 단계적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남북이 정치적으로 통일되지 않았지만, 경제·사회·문화적으로는 통일된 상황부터 이루면 된다. 젊은 세대들은 통일하면 국가의 통일만을 생각하는데 사실상 통일과 비슷한 상황을 보고 접근하자”고 답했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통일과 관련한 청년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임동원 전 국정원장.  사진=황인성 기자 

정세현 “통일 따른 편익 커…경제 성장, 곧 청년에게 도움”
김한정 “남의 아닌 우리 안보의 문제…日 독도 망언 분개하듯 청년 분노해야”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은 통일에 따라 부담하지 않아도 될 분담 비용과 예상보다 크지 않은 북한 경제 활성화 비용을 또 다른 근거로 들었다. 정 전 장관은 ”학자들의 연구에 따라 일부 차이는 있지만 분담 비용 비율은 국내 GDP 총액의 4~4.3%, 통일 후 북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투자가 필요한 비용이 GDP 총액 대비 6~6.9%에 해당한다”며 “실제 투자 비용은 GDP 총액의 2~2.9%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국가명을 가진 통일은 쉽지 않겠지만, 적어도 남북이 전쟁의 공포 없이 군사비 투자를 줄일 수만 있다면 평화의 편익이 엄청나게 늘어난다”며 “남북 평화 구축은 물론이고 경제적으로도 남는 장사”라고 말했다. 학자들의 관측대로 우리 경제가 매년 6%씩 경제 성장을 한다면 청년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 해소에도 도움이 될 거란 사실도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의 사회를 맡은 김현경 MBC 통일방송연구소 소장. 김 소장은 지난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당시 취재기자로 활동했다.   사진=황인성 기자

토론회를 주최한 국회 한반도평화포럼 김한정 민주당 대표 의원은 “어르신 세대도 통일에 무관심하거나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 청년으로 한정해 정형화시킬 필요가 없다”며 “통일은 한반도의 안전과 평화, 국가의 번영, 우리 젊은이들의 미래와 기회 등이란 의미가 응축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젊은이들이 그들이 가진 ‘정의감’ ‘동정심’ 등 특권을 발휘해 대결 구도로만 가는 현재의 부당한 안보 상황에 대해 분노해야 한다”며 “일본의 독도 도발과 강제동원 역사 왜곡에 분노하면서 왜 우리의 안전과 직결되는 한반도 문제는 외면하고 있느냐. 당장은 개개인과 무관한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우리 평화의 문제”라고 역설했다.

끝으로 “23년 전 꿈꿨던 바람직한 남북 모델은 유효하다. 과제는 더욱 어려워지고, 여건은 더 나빠졌지만 (통일을) 포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열린 토론회는 한반도평화포럼이 주최한 행사로 ‘위기를 넘어서 평화로’라는 주제로 열렸다. 

김진표 국회의장을 비롯해 이해찬 민주당 상임고문, 김한정 국회 한반도평화포럼 대표 의원, 임동원 전 국정원장,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등이 참석했으며 이외 현역 의원들도 대거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대북 문제를 대화 없이 대결 구도로만 가는 현 정부의 정책 기조를 비판하면서 23년 전인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의 의미를 되새겼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
황인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