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4명이 임금체불을 경험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시민단체 직장갑질119와 아름다운재단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1∼6일 직장인 1000명에게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43.7%가 임금체불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기본급 체불을 경험했다는 응답이 30.2%로 가장 많았다. 이어 퇴직금(28.1%), 연장·야간·휴일근무수당(27.8%), 기타수당(24.5%), 연차수당(23.2%) 순이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중에는 비정규직 응답자의 임금체불 경험이 더 높았다. 비정규직 응답자의 34.8%가 기본급 체불 경험을 토로한 반면 정규직 응답자는 27.2%만 체불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직종별로 보면 생산직은 37.7%가 기본급을, 40.2%가 연장·야간·휴일근무수당을 못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사무직은 기본급을 26.4%, 연장·야근·휴일근무수당을 23.6%가 못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체불을 경험한 직장인이 기관을 통해 대응하는 비율은 높지 않았다. 직장인의 24.3%(복수 응답)만 고용노동부·국민권익위원회 등 관련 기관에 신고한 것으로 응답했다.
회사를 그만두거나(22.4%) 모르는 척해(19.0%) 대응을 포기했다는 응답도 41.4%에 달했다. 대응을 포기한 이유는 ‘대응해도 체불 임금을 받지 못할 것 같아서’(43.5%)가 가장 높았다.
임금체불 문제 개선을 위한 대응방안으로는 신고 당사자가 합의하더라도 사업주를 처벌하는 방향의 ‘반의사불벌죄 폐지’(26.7%)가 가장 많이 꼽혔다. 뒤이어 ‘임금채권 소멸시효를 3년에서 5년으로 연장’(18.9%), ‘모든 체불임금에 지연이자 적용’(14.2%), ‘(국가가 대신 지급하는) 대지급금 제도 확대’(13.3%) 순서를 보였다.
조계원 기자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