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가계대출 증가폭이 고강도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3년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본격적인 가계대출 규제 효과는 4분기에 나타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보고서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13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말(1895조8000억원) 대비 18조원 증가한 수치다. 여기에 이번 가계대출은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 △지난해 2분기(8조2000억원) △3분기(17조1000억원) △4분기(7조원) 계속 증가 폭이 확대됐다. 증가 폭은 올해 1분기 3조1000억원으로 줄었지만, 곧 반등해 두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증가 폭은 올해 2분기(13조4000억원)보다 3분기(18조원)에 더 커졌다. 2021년 3분기(35조원)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3분기 가계대출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역시 주택담보대출이다. 3분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112조1000억원으로 19조4000억원 급증했다.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잔액 683조7000억원)은 3조4000억원 줄어 12분기 연속 하락세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959조2000억원)이 3개월 사이 22조7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22조2000억원 증가했으며, 기타대출도 5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04조3000억원)은 1조7000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은 9000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6000억원 축소된 영향 때문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증가 배경에 대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국의 2단계 스트레스 DSR 등 거시 건전성 정책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으로 9월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수도권 주택 거래 증가 속도도 더뎌진 만큼, 주택거래에 1∼3개월 후행하는 주택담보대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대출 증가세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