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 이용대가 살펴보는 정부…구글·넷플릭스 무임승차, 제동 걸릴까 

망 이용대가 살펴보는 정부…구글·넷플릭스 무임승차, 제동 걸릴까 

- ‘망 이용계약 가이드라인’ 이행 점검나선 방통위…“자료 분석 중”
- 국내 통신사에 망 이용대가 안 내는 구글·넷플릭스…국감서도 지적 
- 국회서는 망 무임승차 제동 법안 계류 중…“기준 명확히 만들어야” 

기사승인 2024-11-20 06:00:07
방송통신위원회 청사. 연합뉴스

정부가 망 이용대가 관련 실태 분석에 나섰다. 해외 빅테크의 망 무임승차 논란을 해결할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0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에 따르면 방통위는 망 이용계약 가이드라인 이행 점검에 따른 기업의 제출 자료를 분석 중이다. 향후 이를 망 이용대가 정책 관련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방통위는 지난 5월부터 지난 9월까지 주요 기간 통신사업자와 부가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망 이용계약 가이드라인을 준수했는지 여부와 함께 데이터 트래픽 및 망 이용대가 규모·변동 추이 등에 대한 자료 제출을 요청했다. 주요 기간 통신사업자는 SKB와 KT, LG유플러스이며 부가통신사업자는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이다.

방통위는 지난 2019년 망 이용계약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이번 이행 점검은 가이드라인 제정 후 처음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망 이용대가 무임승차 논란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온라인상 데이터 전송은 공짜가 아니다. 구글, 넷플릭스, 네이버, 카카오, 오픈AI 등 콘텐츠를 제공하는 부가통신사업자는 통신사업자가 만든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사용료를 낸다. 이 사용료가 바로 망 이용대가다. 망 이용에 대가를 내야 한다는 것은 앞서 국내 법원에서도 판례를 통해 확립된 바 있다. 

그러나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과 넷플릭스 등 해외 빅테크들은 국내 통신사에 망 이용대가를 지급하고 있지 않다.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사업자와 달리 망 이용대가 지불을 거부 중인 상황이다. 구글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을 이용하는 부가통신사업자이기도 하다. 지난해 전체 트래픽의 30.6%를 유발했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가 지난달 25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는 앞서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됐다.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해외 빅테크의 망 무임승차와 관련해 ‘역차별’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김태규 방통위 위원장 직무대행은 “균형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도 같은달 25일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서 망 무임승차 관련해 “국회와 같이 해결할 의향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유 장관은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겠다”고 말했다. 

다만 구글 등 빅테크는 망 무임승차와 관련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피력하기도 했다. 지난달 8일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망 무임승차 논란에 대해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에게 질의했다. 이에 김 사장은 “인터넷에 최초 접속할 때 접속료를 내고 나면 그다음에 데이터는 어디든지 흐를 수 있게 하자는 것이 지금 국제적인 협의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반면 김 의원은 “구글 편의주의적 접근 방식이다. 한국 이용자에게 콘텐츠를 공급할 때 한국 통신사에 연결해서 국내 트래픽 유발 비용이 발생한다”고 질타했다. 

국내 통신사들이 나서서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인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싸움에서 국내 통신사는 ‘약자’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국정감사에 출석한 김영섭 KT 대표도 망 이용대가를 구글로부터 받지 않는 이유에 대해 “사용료를 받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받으면 통신사 입장에서는 너무 좋다”면서 “구글이라는 거대한 기업과는 힘의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회의사당 전경. 사진=박효상 기자

국내에서는 이같은 힘의 불균형 문제를 입법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김 의원과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지난 8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공동 대표 발의했다. 글로벌 부가통신사업자와 국내 통신사업자 간 망 이용계약 시 정당한 대가 지급을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정헌 의원도 지난 10월 망 무임승차를 막고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업계에서는 향후 AI(인공지능) 시대 등을 대비해 망 이용대가 관련 대비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부가통신사업자들은 모두 망 이용대가를 내는 상황에서 해외 빅테크들은 이를 회피해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구글이 이야기하는 망 중립성은 망 이용대가와는 별개의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어 “AI와 로봇, 자율주행 등 모두 망을 사용해 엄청나게 큰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운영이 된다”며 “지금 망 이용대가 관련 기준을 명확히 만들어두지 않으면 향후 더욱 문제가 커져 기술 발전이 늦어질 우려가 있다”고 이야기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