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업계, 또 유동성 위기설 고조…몸 사리기 전략 이어진다  

건설 업계, 또 유동성 위기설 고조…몸 사리기 전략 이어진다  

기사승인 2025-01-09 11:00:05
서울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사진=곽경근 대기자

지난해 태영건설 워크아웃으로 위기설이 불거진 건설 업계가 또 다시 위기설에 직면했다. 최근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며 부도 공포가 재점화된 것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주택 브랜드 ‘파밀리에’를 보유한 신동아건설은 7일 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 신청서를 제출했다. 서울회생법원은 이날 오후 2시30분 기준으로 신동아건설에 보전 처분과 포괄적금지명령을 내렸다.

보전 처분은 채무자(회사) 측이 회생절차 개시 결정 전에 경영을 하거나 재산을 도피·은닉할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정 전까지 회사의 업무 및 재산에 관해 임의 처분을 막는 것이다. 채권자를 위한 것으로 변제금지, 일정액 이상 재산 처분금지, 금전차용 등 금지, 임직원 채용금지 등 4가지 사항이 금지된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반대로 채권자들이 기업회생 개시 전에 강제집행·가압류·가처분·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 절차 등으로 회사의 주요 자산을 확보하지 못하도록 채권을 동결하는 조치다. 

신동아건설은 주택 경기 침체 장기화로 만기가 도래한 60억원의 어음을 막지 못해 회생 절차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채비율도 400%를 넘는 등 위기가 도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의 2023년 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연결기준)은 60억원에 불과했다. 이는 2022년 말 337억원 대비 82.2% 급감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428.8%로 조사됐다. 2022년 말 349.3% 대비 크게 상승했다. 건설업 특성상 부채비율은 200% 수준까지 적정 수준으로 평가하지만 이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다. 신진주 역세권 타운하우스, 의정부역 초고층 주상복합 등 신동아건설이 책임준공을 맡은 일부 사업장에서 대규모 미분양이 발생하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동아건설은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 58위의 중견기업으로 업계에도 적잖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지방에서 이어진 연쇄 부도가 중견 건설에도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29곳의 건설사가 문을 닫았다. 이는 2019년 이후 최대치로 2021년 12곳, 2022년 14곳, 2023년 21곳, 2024년 29곳으로 4년 연속 증가했다. 부도 업체 86%(25곳)는 지방 건설사다.

업계는 올해의 키워드로 ‘생존’을 목표로 잡았다. 기존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던 대형 건설사들도 예외는 아니다.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는 지난 3일 신년사를 통해 내실경영에 집중해 리스크를 해소하고 철저한 수행관리를 통해 재무안정성을 확보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장동현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부회장과 김형근 사장도 “재무 안정성 확보, 변동성 최소화,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대외환경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 건전한 재무구조를 완성,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틀을 닦겠다”고 말했다.

윤진오 동부건설 대표이사도 시무식에서 “수익성 개선과 지속가능 성장은 건설 업계가 직면한 전례 없는 현실이자 도전”이라며 “기본에 충실한 내실경영을 실천하고 핵심 역량을 재점검해 수익성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올 한 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회사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가자. 임직원 모두의 단합된 힘과 지혜로 새로운 미래를 개척하자”고 발언했다.

업계에서는 선별 수주와 수주 기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 사업 자체가 경기를 많이 타고 규제 산업이기에 현시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수주를 안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파트를 아무리 좋게 짓는다 해도 안 팔리면 끝이다”라며 “정치, 경제적인 불확실성이 해소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공격 수주보다는 수입이 보장되는 안정적인 곳의 수주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유정 기자
youjung@kukinews.com
조유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