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 이후 건설주 및 펀드수익률 부진…반등 가능성은

부동산 규제 이후 건설주 및 펀드수익률 부진…반등 가능성은

기사승인 2018-01-06 05:00:00

지난해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8·2 부동산 대책) 이후 건설업종의 주가 하락세는 두드러졌다. 국내 증시가 고공행진한 것과 상반되는 뚜렷한 내림세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요 상장 건설업체 주가는 지난해 1년 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 가운데 주택 사업을 위주로 하는 현대산업개발의 주가 하락이 두드러졌다. 현대산업개발의 현재 주가(2018년 1월 5일 종가기준)는 4만900원으로 1년 전(4만7250원) 대비 13.43% 하락했다. 이어 현대건설(-12.22%), 대림산업(-3.66%)의 주가도 떨어졌다. 

중형사 가운데 주가가 하락한 곳은 두산건설(-24.54%), 서희건설(-12.58%), 한라(-9.45%) 등이다. 

주가가 상승한 주요 건설사는 대우건설(+18.07%), GS건설(8.31%) 등이다. 대우건설은 해외사업 부진에도 불구하고 합병과 매각 이슈로 인해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반면 삼성물산의 경우 지난해 대비 1.56% 상승했지만 자회사 삼성바이오로직스(+147.61%)의 주가 고공행진의 수혜를 받지 못했다. 

국내 건설·부동산 업종의 주가 하락으로 부동산 펀드 수익률도 부진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 펀드 전체 평균 수익률(1년 기준)은 마이너스(-) 12.15%를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부동산대출채권이 24.19% 손실을 기록했고, 부동산임대 수익률도 0.83%에 그쳤다. 이는 국내주식형 펀드(24.64%), 해외주식형 펀드(28.11%)에 비해 크게 못미친다.  

◇ 올해 입주 물량 급증…건설주 흐름 ‘안갯속’ 

증권사 및 부동산업계에서도 올해 건설주 흐름에 대해 반신반의한다. 정부의 규제 및 입주 물량 급증하면서 주택사업이 부진할 가능성이 커져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올해 입주 물량이 크게 늘어나고 정부의 규제 정책으로 인해 시장의 흐름은 입지 별로 양극화 가능성이 크다”라고 전망했다. 

올해도 신DTI와 4월 양도세 중과제 등 각종 부동산 규제가 시행된다. 입주 물량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일부 지역의 미분양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입주할 아파트 물량은 총 43만9553가구에 달한다. 이는 지난 10년 이래 최고치다. 이 가운데 경기도(서울 제외) 지역의 입주 물량은 16만1992가구로 전체 36.85%를 차지한다.

신규 분양 물량도 지난해 보다 늘어난다. 하나금융투자 채상욱 연구원은 “2018년 총 분양계획은 44만가구로 지난해 대비(33만가구) 37.3% 증가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SOC(사회간접자본) 예산 삭감으로 토목 부문도 위축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KDI는 “건설투자는 SOC 예산의 대폭 삭감으로 토목부문이 부진을 지속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동안 국내 주요 건설사는 토목, 플랜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주택사업의 호황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상장 건설사 중 GS건설, 대우건설 등은 플랜트 부문(3분기 누적 기준)에서 각각 4511억원, 226억원의 손실을 냈다. 반면 주택사업 부문 이익으로 흑자를 냈다. 주택사업이 부진할 경우 해당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임대주택등록 활성화 대책에 대형사 중심으로 건설주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전망한다. 

임대주택등록 활성화는 다주택자의 임대주택 등록 인센티브와 임차인 권리보호 강화가 핵심이다. 다주택자가 임대주택 등록 시 세제(지방세, 임대소득세, 양도세, 종부세)를 감면하고 건강보험료 부담을 완화시켜주기로 했다

키움증권 라진성 연구원은 “주택조정요인과 실수요자 위주의 재편은 대형사에게 유리한 국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브랜드와 입지가 좋은 지역으로 청약수요가 쏠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가 상승도 건설주 상승에 호재다. 유가가 오르면 중동지역에서 수주할 발주처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교보증권 백광재 연구원은 “유가 회복에 힘입어 해외 수주는 2018년 36조3000억원, 2019년 40조원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수주증가보다 더욱 반가운 것은 유가 회복을 통한 마진 개선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 규제 강화에 따른 투자심리 악화로 건설업 지수의 급락에도 불구하고 ▲수주 개선에 따른 매출액 성장  이익 성장 지속 ▲재건축 연한 도래 물건 증가 및 해외 수주 증가를 통한 장기 성장성 확보했다고 본다”라고 강조했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