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0일 (목)
“이 연봉 받곤 못 다녀” 20~40대 직장인 69%는 이직할 결심

“이 연봉 받곤 못 다녀” 20~40대 직장인 69%는 이직할 결심

기사승인 2024-06-19 18:18:51
쿠키뉴스 자료사진.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20~40대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현 직장에서 다른 직장으로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전국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5%가 ‘향후 직장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향후 직장 이직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0.5%에 그쳤다.

특히 젊은층에서 이직을 계획하고 있는 이들의 비중이 높았다. 20대 응답자의 83.2%, 30대 응답자의 72.6%, 40대 58.2%는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직 고려 사유는 ‘금전 보상에 대한 불만족’이 61.5%(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과도한 업무량’ 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 27.4%, ‘회사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 26.6%, ‘개인적 성장을 위해’ 25.7%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절반은 이직을 ‘연봉 인상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직이 갖는 의미를 묻자, ‘연봉 인상 수단’이라는 응답이 49.5%, ‘개인적 성장 기회’라는 응답은 31.8%, ‘역량 검증 수단’이라는 응답이 12.3% 순으로 집계됐다.

실제 이직 유경험자의 68.5%는 직전 직장보다 높은 연봉으로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전 연봉과 비교했을 때 ‘1∼10% 상승’은 33.8%, ‘11∼30% 상승’은 27%, ‘30% 초과 상승’은 7.7%로 집계됐다. 전 직장과 연봉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졌다는 응답은 31.5%였다.

아울러 응답자 3명 중 2명은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직 유경험자는 연령대별로 40대 79.8%, 30대 67.0%, 20대 49.6%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직 유경험자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젊은 직장인을 중심으로 이직을 계획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직장인 세 명 중 두 명이 이직을 경험했을 정도로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점차 옅어져 가는 상황”이라며 “직장인들에게 이직은 단순한 불만족 해소 수단이라기보다는 조금이라도 나은 보상과 근조로건, 그리고 개인의 성장 기회를 추구하는 적극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기업 입장에서 직원들의 잦은 이직은 업무 공백 발생이나 조직 분위기 저해 등 부정적 영향을 줄 소지가 있고 다른 직장으로 이직한 직원에게 투자한 비용까지 고려하면 기업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요인에 해당한다”며 “특히 직장인 이직의 가장 큰 동기가 금전적 보상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된 만큼 기업은 우수 인재 이탈 방지를 위해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도입 등 공정한 평가·보상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2연승’ 유상욱 BNK 감독 “디아블? 탑급 선수 될 것”

유상욱 BNK 피어엑스 감독이 팀 경기력에 만족감을 표하며 ‘디아블’ 남대근을 칭찬했다.유 감독이 이끄는 BNK는 10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RX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 완승을 거뒀다. 개막전 패배 후 2연승에 성공한 BNK는 2승1패로 4위에 자리했다. 반면 DRX는 2연패에 빠지며 1승2패를 기록했다.경기 후 취재진과 만난 유 감독은 “기세를 타기 위해 중요한 경기였다. 2-0으로 이겨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