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자의 늪에 빠진 국내 면세업계가 지난해 영업손실만 3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환율 등으로 판매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인 보따리상(다이궁) 수수료와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부담이 커진 결과다.
13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호텔신라가 운영하는 신라면세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3조2819억원으로 전년(2조9337억원)보다 11.9% 늘었다.
그러나 697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2023년 224억원 흑자에서 적자 전환했다. 신라면세점이 연간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원년인 2020년(1275억원) 이후 4년 만이다.
신세계면세점도 매출은 2조60억원으로 4.7% 늘었으나 영업손익은 전년 866억원 흑자에서 지난해 359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현대백화점면세점도 매출은 9721억원으로 2.6% 감소했으며 28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영업손실액은 2023년 313억원에서 소폭 줄었으나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롯데면세점은 다음 달 말 실적을 공시할 예정이지만 전망은 좋지 않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영업손실이 922억원에 달하는 데다 4분기에도 적자 기조가 지속돼 연간 1000억원대 손실이 예상된다.
업계에선 연간 영업손실 규모가 가장 컸던 2022년(1395억원)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4개 면세업체의 지난해 영업손실액을 합하면 3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감소와 고환율에 따른 판매 부진, 중국인 보따리상에 지급하는 높은 수수료,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