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우리금융그룹 임종룡 회장 체제에서 부당대출 논란으로 불거진 내부통제 문제를 수습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이 이사 연임시 임기를 보장할 수 있도록 내규를 개정한 것에 대해서는 주주들에게 설명이 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개 국내은행 은행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임 회장이 그만두게 되면 우리금융 거버넌스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임기를 채우시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현실적으로 제 입장에서는 우리금융 내 파벌이 분명히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어려운데 임 회장이 그만두게 되면 거버넌스 관련해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지주회장은 임기를 채우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기회가 될때마다 사실 사석에서 많이 밝혔었다”고 설명했다.
우리금융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 원장은 “KB, NH, 신한 어느 금융사 할 거없이 1000억원대 사고가 뉴노멀이 된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당국과 금융사 온정주의적 관계로 (내부통제 사고가) 반복되는 게 아닌가 반성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금융 경영등급평가와 관련해서는 “좋게 나온다고 해도, 지금 저 정도의 거버넌스·역량이 괜찮은것인지 점검이 필요한거고, 나쁘게 나온다고 해서 (보험사 인수가) 기계적으로 안된다고 말씀드릴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오해소지가 있어서 말하지 않았는데 정말 당국 입장에서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는 게 좋고, 거꾸로 말하면 현 행장, 회장 체제가 이를 책임져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하나금융그룹이 이사 임기를 보장할 수 있도록 내규를 개정한 것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하나금융의 어떤 이사회 운영 방안 등이 제가 보기에는 상당히 좋아졌다”면서 “셀프연임 오해를 사지 않도록 좀 더 미리 관련 규정을 정비하거나 불가피한 이유에 대해 이사회 내에서 충분히 논의했다면…. 사실 논의했다고 얘기를 들었다. 그 점에 대해 큰 이견은 없고 다만 논의된 내용이 주주나 책임자들에 한번 공유가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개별 은행의 가격정책에 직접 관여하면 안된다면서도, 이 원장은 1/4분기가 되면서부터는 소비자가 기준금리 인하를 자연스럽게 체감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기준금리가 2차례 떨어졌는데 다양한 경로로 영향이 전달되려면 6개월 정도 걸린다”면서 “작년에는 대환대출 플랫폼 등 가격경쟁 촉발하는 요인들이 있었는데 하반기에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상반기에는 자연스럽게 금리 떨어지는 효과를 체감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는 25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대해서는 “물가 추이, 환율 추이, 내수 등 다양한 경제상황을 볼 때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지 않은지 당국과 사회적 공감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은 최소한 방향성이 같아야 한다. 다만 일부 확정적인 재정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걸 보면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와 관련해선 “결국 본점의 KPI 설정, 단기성과주의, 온정주의에서 비롯된 문제들이 서류조작 등 금감원이 용인하기 어려운 정도 수준에 이르렀다”며 “고위험 상품에 대해선 2월 말 정도에 금융위원회를 중심으로 방향성을 설명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200억원대 부당대출이 드러나 현장검사 중인 기업은행에 대해서는 “끼리끼리, 온정주의, 외형확장주의에서 비롯됐다. 굉장히 심각하다. 아주 엄하게 보고 있고, 큰 책임을 물려고 생각 중이다”고 말했다. 토스의 신용정보법 위반 제재 수위가 2단계 내려간 것을 두고서는 “어느 분은 과하게 검사했다고 하고, 또 어느 분은 너무 봐준다고 한다”며 “뭐라고 말하기가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