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와 카카오가 26일 주주총회를 여는 가운데 인공지능(AI) 시대를 반영한 경영 청사진이 공개될 예정이다.
12일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네이버는 26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주주총회를 열고 신규 사내이사 선임 등의 안건을 의결한다. 이미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되며 7년 만에 이사회 의장에 복귀할 예정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았다.
이 창업자가 2017년 3월 의장 자리에서 내려온 뒤 글로벌 사업에 집중해왔으며 2018년에는 등기이사직도 내려놨다. 이 창업자가 의장으로 복귀하면 AI 등 네이버의 신사업에 활력을 불어놓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5월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이 창업자는 “네이버는 글로벌 국가가 자체 주권 AI를 확보할 수 있도록 어떤 형태든 기술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해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연 매출 10조원을 달성하는 등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AI 시장에서도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기술인 ‘하이퍼클로바X’를 내세우고 있지만 빅테크와 비교해 성과물이라 하기에는 아쉬운 상황이다. 또 딥시크 등 중국 AI 기업들도 속도를 내고 있어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네이버는 주주총회에서 최수연 대표 재신임도 함께 처리한다. 최 대표는 1981년생으로 2022년 네이버 대표이사로 선임됐으며 이후 포브스 선정 ‘2022 아시아 대표 여성 경영인 20인’, 포천지 선정 ‘2023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리더 100인’에 연달아 선정되는 등 성과를 인정받아 왔다. 이에 이 창업자와 최 대표가 AI 등 신사업과 함께 조직 전반에 어떤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 ICT(정보통신) 업계에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카카오도 같은 날 제주 본사에서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신규 이사회 의장 선임 등 안건을 처리한다. 카카오는 지난해 윤석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의결했다. 창립 이후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은 것은 처음이었다.
이번 임기를 끝으로 윤 의장은 퇴임하며 카카오는 이번 주총에서 신임 이사회 의장을 선임할 방침이다. 카카오가 사외이사 의장 체제를 유지할 경우 금융 전문가인 함춘승 피에이치앤컴퍼니 사장이 선임될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카카오의 사내이사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권대열 카카오 CA협의체 ESG위원장, 조석영 카카오 CA협의체 준법지원팀장 등 3인이 이름을 올렸다. 또 이번 총회에서 주총 장소를 본점 소재지(제주) 또는 그 인접지로 규정한 정관을 본점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또는 그 인접지로 변경하는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