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국내 수입물가가 두 달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 상승에도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영향이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원화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3.60으로 전월 대비 0.4%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4% 상승했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다 지난 2월 하락세로 전환한 후 두 달 연속 내리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상승한 반면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내린 것이 영향을 미쳤다. 한국이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 가격은 2월 배럴당 77.92달러에서 3월에는 72.49달러로 7.0%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1456.95원으로 2월(1445.56원)보다 0.8%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광산품을 중심으로 원재료 가격이 전월보다 3.3% 내렸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0.7% 올랐다. 자본재 및 소비재도 각각 전월대비 1.6%, 0.9% 상승했다.
한은은 이달까지 수입물가 하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문희 한은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4월의 경우 두바이유는 전월 평균보다 5.4%가량 하락했고 환율은 0.3% 정도 소폭 상승했다”며 “국내외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지켜봐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유가가 더 큰 폭으로 하락해 수입물가에 그 영향이 더 크게 반영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환율 상승 여파에 수출물가는 상승했다. 지난달 수출물가(원화기준)는 134.56으로 전월보다 0.3% 올랐다. 전년말 대비로는 1.1%, 전년 동월 대비로는 6.3%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6.3%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1.2%), 1차 금속제품(2.0%), 농림수산품(1.6%) 등을 중심으로 올랐다.
환율 효과를 제외한 계약통화기준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1.4% 내렸다. 수출물가는 전월비 0.7% 낮아졌다.
3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3.2%)이 수출가격(-2.4%)보다 더 크게 하락해 0.8% 상승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 한 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것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물량지수(3.4%)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30.8%)가 모두 상승하면서 4.3% 올랐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한국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