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AI 인재를 적극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AI 인재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규제 혁신·인프라 마련 등 지원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 AI 3대 강국 특별위원회는 29일 오후 2시에 국회 의원회관에서 ‘AI 인재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AI 인재 양성을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특위 인재육성 소위원장인 김은혜 의원과 특위 컴퓨팅인프라 소위원장인 고동진 의원이 주최했다.
고 의원은 “AI 인프라 발전과 함께 많은 인재들이 해외기업으로 빠져나가는 것에 대한 고민 속에서 토론회를 준비했다”며 “GPU를 늘리고, 기존 인력은 물론 해외 석학 등 국적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모셔 와야 한다. 골든타임은 아직 늦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챗GPT에게 행사 축사를 물어보니 재정·입법·정부 차원의 노력을 이야기했다. 그런데 미국과 중국 기업에서 인재를 유출하는 것은 아직 입력되지 않은 것 같다”며 “이번 토론회는 인재 리쇼어링을 만들겠다는 첫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AI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해선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국내 AI인재 유출은 처우는 물론, 끊임없이 성장할 수 있는 연구 환경과 동료가 부족하다”며 “카테고리별로 나눠 맞춤형 인재 확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 센터장은 AI 인재를 △세상을 뒤엎을 혁신적인 AI 연구자(G1) △강력한 AI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자(G2) △알려진 AI 기술을 활용해서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을 만들어내는 엔지니어(G3) △모든 산업에서 AI를 도구나 팀원으로 활용하는 도메인 전문가(G4)의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이어 “인재 양성보다는 ‘확보’라는 단어를 써야 한다”며 병역 특례·급여 인센티브 등 단기 정책과 교육·연구 기관 예산 확보 등 중장기적인 대책을 병행할 것을 강조했다.
박준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디지털인재양성단장은 “한국은 학령인구 감소 및 의대 쏠림 현상 등으로 혁신 인재 양성에 양적 한계가 있다. 또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임금 격차, 연구환경 부족으로 AI인재 유출국으로 변화했다”며 “정부의 공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향후 AI 혁신을 위한 근로 환경 조성에도 힘쓰겠다는 방침이다.
김 의원은 토론이 끝난 후 “당에서 주 52시간제 예외 제도를 포함해 많은 규제를 없애기 위해 노력했지만 국회 본회의 통과라는 벽을 넘지 못했다”며 “이념과 진영을 탓하기 이전에 정치 분야에서 혁신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고 의원도 “GPU를 마련하고 파격적인 인센티브와 대우를 통해 인재를 리쇼어링하면 아직 골든타임은 늦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